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념
자신
소신
견해
의견
신뢰
학설
d라이브러리
"
확신
"(으)로 총 8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왜 제퍼디 퀴즈쇼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만약 자신이 정한 정답에 자신이 없으면 왓슨은 버저를 울리지 않는다. 답에 대한
확신
이 있을 때 기계장치를 작동해 버저를 울리고 답을 말한다. 우승을 위한 일종의 도박을 하는 셈이다. 왓슨의 가장 놀라운 능력 중 하나다. JEOPARDY!우리에게는 생소하지만 미국 사람들은 제퍼디에 열광한다. 196 ... ...
공주는 왜 해적이 됐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도형은 ‘핫산’이라는 검객을 만나면 공주의 사연을 조금이라도 알 수 있을 거라
확신
한다.“저기, 핫산 씨 맞죠? 공주님 일로 잠시 할 이야기가 있어요.”공주님이라는 말에 핫산은 놀라는 듯하나 애써 태연한 척한다.“다 알고 왔어요. 하디시 공주님이 왜 이 배에 타고 있는 거죠?”“목소리를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설명할 수 없고, 예측할 수도 없다. 그 누구도 지구공학으로 인해 어떤 결과가 나타날지
확신
할 수 없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리모델링하는 슈퍼아이디어Part1. 왜지구 공학인가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수 있다.푸고트 교수는 수많은 실험으로 이런 물질이 있다는
확신
은 있었지만 정작 그 실체는 밝히지 못한 상태였다. 흥미를 느낀 몬카다 박사는 곧바로 EDRF의 실체를 밝히는 연구에 뛰어들었다. 그런데 이듬해 한 학회에서 푸고트 박사는 여러 상황을 고려해볼 때 ... ...
하메드의 정체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건 믿을 수 없었지만 선생님께서 이야기해주신 하메드 이야기를 듣고 하디시 공주라고
확신
했어요. 해적이 정치나 외교를 공부할 필요는 없잖아요.”도형의 말에 울먹거리는 허풍.“도형아, 너 사실은 내가 하는 말을 귀담아듣고 있었구나. 내 말을 무시하는 게 아니었어. 흑흑, 다 듣고 있었어. 흑흑 ... ...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이 영역에 점이 있다는 것만으로는 주어진 정사각형 안에 점이 있어도 그것을
확신
할 수 없지요. 따라서 정답은 2개 이하일 수 없고, 그럼 3개 아니면 4개가 정답일 것입니다.즉,‘3개의 직선을 그려서 알아내는 방법이 있는가 아니면 없는가’하는 것이 이 문제의 핵심입니다. 3개로도 방법이 없다면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박사과정 학생 한 명과 함께 약간 변형한 장치로 초고체 실험을 했고 초고체는 없다는
확신
을 얻었다. 학위를 마친 뒤 학생이 떠나 혼자가 된 뒤에도 79세인 현재까지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 올해 6월 권위있는 물리학저널인 ‘피지컬리뷰레터스(PRL)’에 낸 논문에서는 온도를 낮출 때 진동주기가 ... ...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보였지만, 이것만으로는 비소가 인을 대신해 분자 구조의 같은 위치에 들어가 있는지
확신
할 수 없다.로즈매리 레드필드 캐나다 브리티시콜롬비아대 교수도 발표 직후인 12월 4일 블로그에 게재한 글을 통해 울프-사이먼 박사의 논문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레드필드 교수는 “저자들은 일반적인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사건인지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노벨위원회가 이 문제를 충분히 연구했다고
확신
한다”고 네이처에 말했다. 결국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가임 교수와 노보셀로프 박사가 참석한 가운데 예정대로 시상식이 열렸다.당분간 그래핀 분야에서 새로운 노벨상이 나올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드라이버에 대해 관심을 가져본다면 내년에 더욱 재밌는 F1 경기를 즐길 수 있으리라
확신
한다.150dB의 청각을 자극하는 고음의 엔진 파열음을 들으며 사진기로 찍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달리는 F1 머신을 보는 것은 살아가는 데 좋은 자극제가 될 것임에 틀림이 없다. 꼭 한번 직접 보고 즐기기를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