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어린이과학동아
"
교수
"(으)로 총 976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러네요 포스팅이 죄다 6렙거네요
포스팅
l
20200515
ㅊㅊ 명코 129화 검은조직에서 온 여자-대학
교수
살인사건 그래서 제가 망치러옴ㅎㅎㅎㅎㅎ ...
<지사탐 탐사기> 탐사 위크를 맞아서
기사
l
20200506
했어요. 공지사항에서 큰부리까마귀 동박새 방울새 소리를 미리 들어봤어요. 작년에도 첫 탐사활동이 소리모아여서 장이권
교수
님 설명도 들었고 아빠가 여러 새소리도 인터넷에서 찾아 들려주셨어요. 그런데 몇 번을 들어도 익숙하지 않은 새소리는 금방 까먹어서 구분이 안되는데 아빠가 특징을 잡아주셨어요. 아차산은 정말 많은 자연생물이 가득해서 탐사 ...
해리포터 호크룩스의 종류
기사
l
20200429
다음게 큰 반전이어서 먼저 했습니다. 7. 해리포터(??????!!!!!!) (www.kyeongin.com) 그렇습니다. 해리입니다. 해리는 호그와트의
교수
자 자신을 은밀히 도와주었던 스네이프의 기억 속에서 자신이 마지막 호크룩스인 것을 알아내고 볼드모트에게 가서 살인 주문을 받고 뻗습니다. 그러나 죽음의 위기에서 덤블도어를 만나고 볼드모트가 ...
미래를 열어갈 사물인터넷!
기사
l
20200419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말해요.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캐빈 애시튼
교수
(MIT)가 처음 사용하였는데요. 지금까진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이 정보를 주고 받으려면 사람의 '조작'이 개입되야 했어요. 사물인터넷 시대가 열리면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는 사람의 도움 없이 서로 알아서 정보를 주고 ...
탐험으로 만나는 더 큰 세상! 탐험대학을 소개합니다!
기사
l
20200330
직접 보고 만져보았습니다. 그리고 세번째로 카이스트에 가서 박재필, 신동윤 멘토님과 하루종일 로켓과 위성탐험을 했습니다. 이날은 로켓과 위성팀으로 나누어서 탐험을 진행했는데 저는 위성으로 지원 ...
[어과동 추천 영상] 식물, 만만하게 보지말라구!
놀이터
l
20200305
하지 않을 것 같은 식물이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충격적인(!) 영상을 가져왔어요. 2018년, 미국 매디슨 위스콘신주립대 길로이
교수
팀의 연구 결과인데요, 애벌레가 잎을 갉아먹거나 사람이 잎을 찢었을 때, 식물도 방어 신호를 만들어 다른 잎에게 위기 상황임을 알린다(!)는 걸 영상으로 볼 수 있답니다. 우선 영상을 볼까요? (영어 영상 ...
1월의 BOOK소리: 말하는 나무들
기사
l
20200304
진실을 깨달을 수 있다.' 이상 정인혁 기자였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TED에서 수잔 시마드
교수
가 강연한 내용을 보면 인혁 기자의 기사를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어요 :-) 한글 자막이 있답니다. ... ...
반짝반짝 자랑터(?)
포스팅
l
20200224
한가지 아쉬운 점은 학생들은 짧은 다리라서 안 움직여요;; 그리고 다음은 선생님들과 유령 왼쪽부터 목이 달랑달랑한 닉 퀴렐
교수
알버스 덤블도어 미네르바 맥고나걸 루베우스 해그리드 입니당 여기서 소름돋는 것은 두구두구두구~~ 퀴렐 뒤에 볼드모트 디테일 뭐냨ㅋ 이야기를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설명을 해드리자면 1편 마법사의 돌에선 퀴렐뒤 ...
백두산 파악하기
기사
l
20200204
인물은 위에 그림 보시면 됩니다. 처음 백두산1차 폭발할때 화면에서 지진이 일어나길래 심장이 두근두근 떨렸습니다 한편, 지질학
교수
강봉래는 연구원들에게 자기 이론을 발표하는데요, 그래도 백두산을 막을 확률은 아주 조금이라 말합니다. 또 조인창은 본부에 가서 제트기를 타고 백두산으로 향합니다.그리고 다시 리준평이 갇혀있는 형무소에 가서 리준평과 ...
초등학생을 위한 실험실 콘서트:과학과 음악
기사
l
20200121
그리고 좌뇌,우뇌와 그 두 뇌를 연결하는 뇌량을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다리라고 쉽고 재밌게 설명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카이스트
교수
님께서 나와 뇌를 볼 수 있는 기계도 보여주시고 실제로 화면에 띄어 보여주셨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저학년과 고학년 사이정도인 3,4학년 정도에게 추천드립니다. 뇌의 대한 내용이 저학년에게는 조금 어렵고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