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지
생육지
서식환경
자생지
원산지
본바닥
어린이과학동아
"
서식지
"(으)로 총 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를 갉아먹는 지구온난화! 뜨거워지고 있는 지구!
기사
l
20160226
북극곰만 살기 어려워지는 것이 아니다. 빙하가 녹으면 바다의 수위가 높아져 사람이 살 수 있는 땅도 줄어든다. 3. 동식물의
서식지
변화. 동식물들은 각자 살아가기 알맞은 환경이 있는데 기온이 달라지면 우리나라에서 열대과일이 나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 지금 시각은 몇시? 12시를 환경이 완전히 파괴되는 시각으로 치면 지금 한국은 ...
아쿠아리움의 물 속 생물들을 만나다
기사
l
20160131
현장취재를 다녀왔습니다. 이번 취재는 기자단이 아쿠아리스트가 되어 다양한 해양생물의 생태계를 관찰하고 이 해양생물들이 사는
서식지
의 환경을 체크하는 여러 가지 체험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기자는 동아사이언스 기자단의 대표가 되어 이러한 여러가지 새롭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작하게 되어 많이 뿌듯하였고 설레였습니다.기자단은 먼저 '푸른바다 초록풀'이라 ...
멸종위기의 동물들 멸종위기동물을 도와주세요
기사
l
20160117
합니다. 등지느러미가 없는 것이 특징적이고 머리에는 멜론 기관이라는 것이 있어 마음대로 부풀릴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서식지
환경의 변화때문에 분홍돌고래는 멸종위기동물이 되었습니다.또 다른 멸종위기동물인 하프물범은 남쪽과 북쪽을 회유하며, 여름철에는 북쪽에서 지낸 후 겨울철에 번식을 위해 남쪽으로 이동한니다. 번식기가 끝난 후 봄에 털갈이를 ...
no.1 - 블롭피쉬의 탐사기록 바다에서 제일 신기하고 못생긴 동물
기사
l
20160105
[via Blobfish Cafe, Worthly, Neatorama] 이번에 탐사한 동물은 블롭피쉬입니다. 블롭피쉬는 2013년에 세계에서 제일 못생긴 동물 1위로 선정되었습니다. 블롭피쉬는 눈은 사람처럼 생겼고, 우울할 때 생기는 입술과 슬플 때 생기는 입술을 ... 블롭피쉬에 대한 정보는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몸길이 : 약 30센티 ...
21조 닥터구리 맹꽁이 151024-1 현재기온 19° 안개 풀밭에 이슬 익산시 중앙체육공
탐사기록
l
20151024
21조 닥터구리 맹꽁이 151024-1 현재기온 19° 안개 풀밭에 이슬 익산시 중앙체육공원 오늘밤 귀뚜라미 탐사하다가 약5cm 크기의 맹꽁이를 찾았어요. 2015년 탐사에서 멸종위기2급 맹꽁이
서식지
를 총 4군데 더 발견했어요.. 작년과 올해의 탐사결과 익산에 맹꽁이가 서식하는 곳의 특징을 알 수 있었어요. 10월에 만난 맹꽁이. 정말 귀여웠 ...
집앞에 여기산이있는데 황새나 다른다리가 긴 새들의
서식지
라 자주 집앞하천에 놀러와서 물도먹
탐사기록
l
20150910
집앞에 여기산이있는데 황새나 다른다리가 긴 새들의
서식지
라 자주 집앞하천에 놀러와서 물도먹고 물고기도잡아먹어요. 여러분은 황새와 두루미의 차이를 아시나요? 황새는 다리가검고 부리가 좀 짧으며 두루미는 다리가 분홍빛이고 부리가 황새보다 길답니다 ...
개굴개굴 황소개구리! 외래종은 모두 사라져!
기사
l
20150819
이는 큰 사회적 이슈가 되어 한 때는 황소개구리 포획행사를 실시하기도 하였지만 현재는 너구리, 뱀, 왜가리 등 천적이 있고
서식지
가 파괴되는 등의 이유로 황소개구리가 많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황소개구리는 식용으로 쓰기에 알맞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수입해 번식시키고 있습니다.한국에서는 오래 전에 수입하였는데,주로 넓적다리의 근육을 요리해서 먹는 ...
산굼부리에 다녀오다. 제주 체험기 제2탄
기사
l
20150817
전세계에서도 희귀한 형태입니다. 그래서 지질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산굼부리는 많은 야생 동물의 좋은
서식지
이고, 슬픈 유래가 있다고 하는 곰솔을 취재하였습니다. 곰솔의 유래는 옛날에 배꼽이 큰 처녀가 살았습니다. 몇 년 후 그 처녀는 결혼을 했는데 신랑이 처녀를 보자 처녀를 내쫓아 처녀는 너무 슬퍼서 연못에 빠져 죽었 ...
20150806-6 김파브르 남산매미탐사 소리의 주파수 빨~~보까지 무지개색 빨간색은 큰
탐사기록
l
20150806
20150806-6 김파브르 남산매미탐사 소리의 주파수 빨~~보까지 무지개색 빨간색은 큰소리 ㅡ사람 목소리 450Hz정도 귀뚜라미의 주파수는 3000-6000Hz정도 왕귀뚜라미의 노래소리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청아한 소리? 운율도 있고... 들어보고 싶다 곱등이는 날개로 소리를 냄 노래하 ... 때문에 가을 곤충 여치(베짱이)ㅡ8000Hz이상의 높은 주파수 ...
우리의 갯벌을 위해서 시흥 갯골생태공원에 다녀오다!
기사
l
20150724
서해와 남해는 갯벌이 만들어 질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었지. 그래서 우리나라의 갯벌은 동식물 약 820여 종이 살고 있는
서식지
야. 다양한 생물들이 살기 때문일까? 멸종 위기 생물들이 우리나라 갯벌에 들어와 살기도 해.☞갯벌?금(金)벌?이런 우리나라 갯벌은 몸값도 굉장해! 우리나라 국토해양부가 갯벌의 가치를 계산한 결과, 자그마치 10조나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