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자
체내기관
내포
내복
포함
함축
뱃속
뉴스
"
내장
"(으)로 총 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시세끼 어촌편 2] 방어 or 부시리 이진욱이 낚은 월척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5.10.30
방어 사상충이 잘 발견되지 않습니다. 고래회충이 종종 발견되긴 합니다만,
내장
을 빠르게 제거하면 해결될 문제지요. 참고로 부시리는 낚시를 할 때 끝까지 힘을 줘서 도망가는 생선이라 ‘미사일’이라는 별명도 갖고 있습니다. 낚시에 성공해 건져올릴 때면 곧 죽는 다는 의미기 때문에 잡자마자 ... ...
명태가 사라졌다?! 新바다밥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0.29
밥상 군소 민달팽이처럼 생긴 외모 때문에 ‘바다의 달팽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내장
을 빼고 삶은 뒤 초장에 찍어 먹는다. 군소 - Bierman(F) 제공 말미잘 부산 기장 지역에서는 종종 말미잘을 먹는다. 주로 붕장어와 함께 넣고 매운탕으로 끓여 먹는다. 말미잘 - cocoparisienne(P) 제공 ... ...
“내가 비만?”… ‘BMI’ 기준 믿어도 되나
동아일보
l
2015.10.26
체중만으로 비만도를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당뇨와 고지혈증을 유발하는
내장
지방이 얼마나 있는지가 반영되지 않는 점도 BMI의 한계로 거론된다. 서홍관 국립암센터 암예방검진센터 교수는 “BMI 기준이 너무 낮게 돼 있고, 그 기준을 만들 때 우리나라 자료를 토대로 하지 않아 우리나라 ... ...
강아지에게도 새생명을 준 2015 노벨 생리의학상
2015.10.06
미니카메라로 귓속을 들여다 보거나 약품으로 귀를 청소하는 것), 온몸을 주무릅니다(
내장
이나 관절에 이상이 없는지 촉진하는 것). 제가 싫어하는 것만 골라서 하는 거죠. 게다가 때로는 억지로 입에 무엇인가를 집어넣기도 합니다. 영문 모르고 일단 꿀꺽 삼키게 되는데, 저도 ‘자유의지’가 있는 ... ...
떠오르는 사물인터넷? 보안먼저 해결해야
과학동아
l
2015.08.28
말하는 사물은 말 그대로 모든 사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냉장고’는
내장
된 센서로 냉장고 안 음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매일 아침 먹는 요구르트가 다 떨어졌으면, 알아서 ‘OO몰’에 요구르트를 주문한다. 이런 게 가능하려면 여러 기술과 사업자가 필요하다. 먼저 ... ...
이런 CCTV 보셨나요?
2015.08.14
이상열 전무는 “CCTV에는 소리를 인식하는 귀 역할을 하는 센서가 2개 달려 있다”면서 “
내장
된 소리와 비교해 70~90% 이상 비슷한 것으로 판단되면 소리가 나는 곳으로 고개를 돌려 자동으로 촬영하기 시작한다”고 말했다. ‘귀 달린 CCTV’가 촬영한 영상 캡처. 기자가 소리를 지르자 다른 곳을 ... ...
파킨슨병도 고혈압 합병증?… 뇌혈관 막힐땐 발병 위험
동아일보
l
2015.07.24
것이 중요하다. 나 씨는 고혈압 진단을 받은 이후에 살을 뺐다고 하지만 여전히 복부에
내장
비만이 심한 상태다. 추가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려면 본인 몸무게의 5%는 줄여야 한다. 다행히도 환자는 술자리가 많은 직장을 벗어나 강원도의 시골 마을에서 밭을 가꾸며 생활하겠다고 말했다. 하루 1∼ ... ...
스타트업 기업 위한 ‘황금의 손’ 과학기술인 멘토들의 활약
2015.07.10
간이 앱을 새로 개발하라고 조언했다. 스마트폰에도 인공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내장
돼 있어 주인이 산책시키는 동안 반려동물이 이동한 거리와 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펫피트는 이 기술로 지난해 말 삼성그룹이 대구 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진행하는 ‘C-Lab 벤처창업 공모전’에 ... ...
사람 손 필요없는 ‘스마트 공장’ 실현 성큼
2015.07.09
온도, 압력 등 내부 상태가 파악이 안돼 불량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내부 센서가
내장
된 사출성형 시스템의 금형 내부구조.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성형 과정에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를 사용하면 실시간으로 상태를 감시·분석해 관리책임자의 스마트폰으로 정보가 전달된다. 미세한 문제는 ... ...
7월 1일, 내일 하루는 24시간 1초
2015.06.30
7월 1일 오전 8시 59분 59초에서 오전 8시 59분 60초가 새롭게 생기게 된다. 휴대전화에
내장
된 시계처럼 표준시를 수신해 표시하는 전자시계는 자동 적용되지만 다른 시계들은 1초씩 늦도록 조작해야 한다. 지금까지 윤초가 시행된 것은 총 26회였으며 가장 최근에 적용된 것은 2012년 7월 1일이었다.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