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리
수레바퀴
차륜
타이어
굴레미
링
반지
뉴스
"
바퀴
"(으)로 총 654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림 그리는 로봇’, 나도 한 번 만들어 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8
본격적으로 로봇 만들기에 나선 학생들은 매우 흥분한 상태였다.
바퀴
가 달린(앞에 릴
바퀴
하나, 뒤에 두 개) 로봇을 만들고, 적당한 위치에 펜을 붙여 ‘블루투스 컨트롤’이라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로봇을 원하는대로 조종해 바닥에 놓은 전지에 그림을 그리는 방식이다. 학생들은 저마다의 ... ...
혐오스런
바퀴
벌레지만... 과학자에겐 매력적인 이유
과학동아
l
2017.08.18
2013년
바퀴
벌레를 좀비처럼 원격조종할 수 있는 스마트칩을 만들었다. 이 칩을 등에 단
바퀴
벌레는 스마트폰 앱으로 조종하는 대로 방향을 바꿔 움직인다 ... ...
세계 최초로 열린 나노카 레이스, 승자는?
과학동아
l
2017.08.15
수가 없었다. 대신 ‘가장 아름다운 나노카’ 상을 수상했다. 님스마나 팀의 나노카는
바퀴
없이 애벌레처럼 꿈틀거리며 움직인다. 그런데 경기에서는 아쉽게도 컴퓨터의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1nm를 달린 뒤 더 이상 움직일 수 없었다. 님스마나 팀은 소프트웨어를 복구하려고 했지만 ... ...
토성탐사선 ‘카시니’ 최종임무 시작… 9월 15일 20년 삶 마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14
탐사 임무를 시작했다. 카시니호는 토성 대류권으로부터 1630~1710㎞까지 접근해 주위를 5
바퀴
돌게 된다. 이 임무를 마친 뒤 9월 15일 토성 대기권과 충돌하면서 사라질 예정이다. 충돌 직전까지 지구로 영상과 데이터를 송신해 마지막 임무를 다할 것이라고 NASA는 설명했다. 카시니호는 1997년 10월 ... ...
2m 길이 DNA가 4㎛ 세포핵에 쏙 들어가는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제외한 나머지 세포의 분열을 의미한다. 146염기쌍의 DNA가 8개의 히스톤 단백질을 두
바퀴
감아 직경 11㎚의 ‘뉴클레오솜’을 형성한다. 그리고 양전하를 띤 아미노산과 음전하를 띤 DNA의 상호작용 끝에 단단하게 결합해 더 응축한다. 대부분의 염색체는 실에 꿴 바늘처럼 긴 사슬 모양의 ... ...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
과학동아
l
2017.07.24
시작했다. 육상에서는 인천해역방어사령부의 제독차가 물을 뿌리며 인근 부두를 한
바퀴
돌았다. 시흥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탐지반이 각종 검지기를 들고 나와 사고 해역과 가까운 부두를 훑었다. 인천해경서 탐지반도 사고 부두로 나가 잔류 화학물질을 검출했다. “모니터링 결과, 현재 5ppm ... ...
[詩로 가는 길목 1] 벚나무를 올려보며
2017.07.22
지난봄 작달비 몰아친 한밤에 나무가 잠든 사이 벚꽃들을 데려갔던 바람이 세상을 한
바퀴
돌아와 추적추적 나지막이 말할 것이다. 당신의 꽃잎으로 웨딩드레스 한 벌을 지어 어느 가난한 여인에게 선물했어요. 그런데 그 여인이 당신의 웨딩드레스를 입고 오래 앉아 기다려도 연인은 나타나지 ... ...
[제온 이야기 ①] 인텔, 클라우드에 맞춰 반도체를 다시 그리다
2017.07.19
효율적이긴 하지만 때로 물리적으로 바로 옆에 있는 코어끼리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에 반
바퀴
를 돌아야 하는 일이 생긴다. 정해진 길로만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다. 기존 제온의 링버스 설계(왼쪽)와 새 제온의 메시 설계(오른쪽). 코어와 코어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하는 데 손실이 크게 줄어든다. ... ...
[때와 곳 14] 다락방: 마음이 자라는 곳
2017.07.15
어이없는 표정으로 나를 바라보았다. 곧이어 어머니께서 막내아들을 찾으러 동네를 한
바퀴
돌았다는 말과 함께 밥그릇이 내 앞에 놓였다. 다락방뿐만 아니라 나는 잠자리를 펴려고 이불을 들어낸 빈 이불장에서도 곧잘 들어가 있곤 했다. 나만의 공간이었던 그곳에 들어앉아 있으면 언제나 ... ...
명왕성 대체할 태양계 아홉 번째 행성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4
의구심을 갖는 이유다. 엘런 스토판 미국항공우주국(NASA) 수석연구원은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2만 년이 걸릴 정도로 광범위한 천체의 움직임으로 소천체 궤도를 설명하는 것은 무리”라며 “행성 9의 존재 가능성은 낮다”고 주장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발표한 섕크먼 교수도 “카이퍼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