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7월 과학기술인상에 노준석…초박막 메타렌즈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1m) 수준의 얇은 두께의 렌즈라 경량화에 유리하고 고해상도 이미징 등이 가능하다. 또
빛
을 원하는 만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초고분해능 현미경, 음굴절 물질, 스텔스 기술 등 혁신적인 첨단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미래 기술이다. 메타렌즈는 나노구조체로 이루어져 있어 ... ...
에디슨은 전구를 발명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4.06.29
에디슨 전등회사는 1920년대 제작한 홍보 그림에서 집 밖으로 뻗어 나가는 밝은 불
빛
이 환대를 상징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전구가 창의적 발상을 상징하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이었다. 이전까지 만화나 애니메이션에서 등장인물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렸을 때는 머리 위에 물음표나 차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목성 크기에 해왕성 질량 가진 '팝콘 행성'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6.29
태양계 밖에 있는 외계 행성 'WASP-107b'의 모습을 실었다. 지구에서 200광년(1광년은
빛
이 1년 가는 거리, 약 9조4600억km) 떨어진 이 외계 행성은 앞서 여러가지 독특한 특성이 관찰됐다. 지난해에는 이 행성의 대기에서 수증기와 이산화황, 규산염으로 이뤄진 '모래 구름'이 발견되면서 화제가 됐다. ... ...
[과기원NOW] KAIST, ACS 나노 서밋 2024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온·습도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져 일관성과 신뢰성이 떨어졌다. 연구팀은
빛
으로 반도체 위에 패턴을 그리는 공정을 통해 센서가 전기 신호를 효과적으로 증폭하도록 최적화했다. 이후 당도 측정 센서에 다양한 위치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를 딥러닝으로 학습시켰다. 연구팀이 개발한 ... ...
선풍적 인기 비만치료제, 체중감소 원리 세계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시상하부 기전을 규명한 것이다. 연구팀은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신경세포에 직접
빛
을 비춰 인위적으로 신경이 켜지거나 꺼지거나 인위적으로 쥐의 신경회로에 자극을 주는 방법도 이용했다. DMH에 있는 GLP-1 수용체 신경을 인위적으로 활성화하면 쥐가 진행하던 식사를 즉각 중단하고 신경을 ... ...
UNIST, 나노 단위 제어 가능한 금속-유기 골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있는 '금속-유기 골격체 제올라이트 모방 다공성 고체'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전파나
빛
과 같은 파장인 X선의 회절현상을 측정해 이 골격체를 나노 단위에서 기계처럼 움직이게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골격체는 온도 변화와 용매 분자에 반응하며 회전 운동에서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 ...
"불가능으로 여겨졌던 양자컴 오류 수정 성공…상용화 앞당길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원자 양자컴퓨팅은
빛
의 압력을 이용한 광학 족집게(Optical tweezer)를 사용해 원자들을
빛
의 패턴에 따라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원자의 에너지를 증가시키면 상호작용이 생겨 원자들이 큐비트로 작동할 수 있다. 양자 상태는 측정·복제가 되지 않아 그동안 오류를 정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 ...
연세대 설치될 IBM 양자컴 모형…연기도 찍는 '퀀텀닷' 이미지센서 한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국내 기업 SDT는 이 과정을 역으로 이용해 '양자 이미지 센서'로 활용했다. 퀀텀닷으로
빛
을 인식해 영상으로 변환한 것이다. SDT 관계자는 "퀀텀닷으로 만든 센서는 적외선 파장까지 폭넓은 파장을 인지할 수 있어 기존 카메라와 달리 연기 등을 꿰뚫어 볼 수 있다"며 "비슷한 범위의 파장을 인식할 ... ...
역대 최고 '고에너지 중성미자' 발견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6.23
발견된 것 중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가진 중성미자가 발견됐다. 초고에너지를 바탕으로
빛
의 속도로 이동하는 중성미자는 그 존재가 알려진 지 1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먼 은하에서 초질량 블랙홀의 성장과정을 해결하는 핵심 단서로 여겨진다. 후앙 코엘류 프랑스 천체입자 및 우주론 연구소 ... ...
로마 시대 무덤서 가장 오래된 '액체' 와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22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화이트와인이 시간이 흐르며 산화되면서 붉은
빛
을 띠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서 발견된 와인이 담겨있던 항아리는 보존이 잘 된 무덤 속에서 납 재질의 상자 안에 밀봉돼 있었기 때문에 액체로 남아있을 수 있었다. 로마의 장례 의식에서 포도주를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