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뉴스
"
셀
"(으)로 총 1,0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형광 염색없이 분자 정보 보는 현미경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21
현미경과 형광 현미경의 장점만을 갖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에 7일 공개됐다. ■김재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융합연구부 책임연구원팀은 20일 세계 최고 성능의 복합고체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전해질은 물 등에 녹아서 이온화하여 전기를 ... ...
[인간·공감·AI]미생물 세계의 복잡한 퍼즐 AI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AI로 분석한 결과 사람마다 혈당을 올리는 음식이 모두 다른 것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
셀
’에 발표했다. AI가 혈당 변화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을 하나씩 솎아내고 사람마다 어떤 음식을 먹어야 하는지를 추천하는 데 성공했다. AI는 마이크로바이옴과 인체의 생각지 못한 연결고리를 찾아내 인체를 ... ...
[화보] 핑크 형광 뽐내는 뜀토끼…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주입해 키운 ‘인간-원숭이 잡종 배아’를 세계 최초로 만들었다고 4월 국제학술지 ‘
셀
’에 발표했다. 실험에 쓰인 배아 132개 중 19일 후에 살아남은 배아는 3개에 불과했지만 사람과 가까운 영장류를 잡종 배아 시험에 활용해 윤리적 논란도 불러일으켰다. 연구팀은 원숭이 잡종 배아로 인간 장기를 ... ...
리튬이온배터리 대체할 나트륨-반고체 배터리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6
구멍을 내거나 망가져도 불타거나 폭발해 원형을 잃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이 배터리
셀
들은 은색 포장과 양쪽에 튀어나온 전극 등 원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임두현 에너지11 연구소장은 “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이 아닌 하이브리드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화재와 폭발 위험이 ... ...
모더나CEO도 걱정하는 오미크론 변이…백신 회사들은 왜 걱정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되지만, 이 변이의 심각성과 변이를 대응하기 위한 연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레
셀
연구원팀은 오미크론 변이가 델타 변이 등 다른 변이보다 훨씬 더 심각한 중증을 일으키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샤힌 바이오엔테크 CEO의 전망과 달리, 오미크론 변이가 T세포 반응마저 회피할 수 ... ...
5G 적용범위 늘릴 소형 기지국 소프트웨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1.25
ETRI 연구진이 5G 단독모드 통신을 시연하기 위한 5G 스몰
셀
등을 운용하고 있다. 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소형 기지국에서 4세대(4G) 이동통신 표준인 LTE의 도 ... “5G 단독모드 스몰
셀
기지국 소프트웨어 기술 확보로 다양한 5G 스몰
셀
제품을 국산화할 원천기술 확보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 ...
동물의 수가 ‘–10마리’? 생명과학Ⅱ 20번 문제 오류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1.11.21
나온다. 즉, 짧은 날개 유전자를 2개 갖는 동물의 수는 음수라는 뜻이다. 동물의 수를
셀
때 ‘-1마리’, ‘-10마리’라는 개념은 현실에 없다. 3개의 보기가 맞는지 여부를 가리기 위해 ‘짧은 날개 유전자 2개’인 동물의 비율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다른 유전자형의 비율이 맞는지 ... ...
"자폐아 장세균총 다른 것은 편식 때문"
연합뉴스
l
2021.11.15
제작 이소영(미디어랩) 자폐스펙트럼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 환자는 장(腸)에 서식하는 세균을 총칭하는 장 세균총(gut microbiota)이 보통 사람과는 다른 것으로 ... 비슷한 분변이 잦게 된다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전문지 '
셀
'(Cell) 최신호에 발표됐다. ... ...
[과기원은 지금] GIST, 암모니아 전환 고효율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비용이 많이 드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세라믹 이온 전도성 소재 기반 전기화학
셀
을 이용해 상압에서 고효율로 질소산화물을 암모니아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부산물로 수소가 만들어져 친환경적이다. 논문은 국제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온라인판에 지난 1일 실렸다. ■GIST 노벨 아마노 ... ...
신진혁 LG전자 연구위원·이성진 시큐어
셀
연구소장, 11월 대한민국엔지니어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11.08
증대에 기여한 신진혁 LG전자 연구위원과 전자여권용 보안칩을 개발한 이성진 시큐어
셀
연구소장이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11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11월 수상자로 신 연구위원과 이 소장을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대한민국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