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뉴스
"
수증기
"(으)로 총 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 살아 있네 살아 있어~
과학동아
l
2014.04.25
마그마는 마치 방에 갇힌 것처럼 지하에 잔뜩 모여 있다가 호수와 만나 엄청난 양의
수증기
를 발생시키며 격렬히 폭발했다. 이 폭발은 지하에 고인 마그마의 폭발로 이어졌고, 분화구의 북쪽 벽을 무너뜨렸다. 약 1만2000년 전에는 일본까지 화산재를 날린 가장 강력한 폭발이 일어났다. 많은 양의 ... ...
"로빈슨 크루소처럼 무인도 가더라도 문제없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이 때문에 섬이나 저개발 지역에서 사용하기 어려웠다. 이번에 개발된 해수담수기는
수증기
가 다시 물로 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재활용하는 ‘다중효용 방식’으로, 축열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까지 갖고 있다. 이 해수담수기는 주변에 소형발전기가 있을 경우, ... ...
비닐하우스 위에 경차 33대 올라가 있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4.02.17
기본 입자가 별 모양이어서 가지 사이사이에
수증기
가 많이 달라붙는다. 영동지방처럼
수증기
가 충분히 공급되는 해안가에서는 습설이 잦다. 문제는 이런 습설이 건설에 비해 1.5배 이상 무겁다는 것. 물 함유량을 10%라고 가정했을 때 1m2에 50cm의 눈이 쌓이면 약 50kg의 하중이 발생한다. 그 이상 ... ...
나로우주센터 한국형발사체 개발 현장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4.01.26
고려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설비 앞쪽으로 기다란 배관을 연결했고, 그 끝에 정화된
수증기
를 배출시키는 굴뚝을 설치했다. 한 팀장은 “외국의 경우 연소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외부에 그대로 배출시킨다”며 “반면 우리 시설은 연소와 동시에 다량의 물을 분사해 케로신이 탈 때 나오는 ... ...
[채널A] 중국발 황사에 스모그까지…이번주 내내 미세먼지 주의
채널A
l
2014.01.23
곳곳엔 초미세먼지 주의보도 내려져 있습니다.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옅은 안개와
수증기
와 결합한 먼지로 도심 건물이 또렷이 보이질 않습니다. 바람도 약해 대기가 정체되면서 출근길 가시거리는 3km로 뚝 떨어졌습니다. 현재 서울의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세제곱미터당 138㎍ 안팎으로 ... ...
잦아지는 혹한과 폭염, 무엇 때문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08
양극화는 분명히 더 심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조 과장은 “지구가 뜨거워지면
수증기
증발이 원래부터 많던 지역은 더 많이 증발해 강수량이 늘어나고, 사막 지역은 더 건조해져 그나마 있던 강수량마저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 ...
"올 겨울엔 황태·과메기·홍어가 제 맛"
동아사이언스
l
2014.01.07
최적의 환경으로 꼽힌다. 포항의 자랑거리 ‘과메기’도 같은 원리다. 과메기는
수증기
를 머금은 바닷바람을 이용한 ‘냉훈식’ 처리 방식이 특징이다. 포항은 강원도 보다 따뜻해 황태처럼 완전히 쫄깃한 살결의 생선을 얻기는 어렵다. 하지만 기름기가 많은 청어를 이런 찬 바람에 7~10일 ... ...
'인류의 폭주기관차' 지구 온난화, 예상보다 심각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않는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했다.
수증기
가 비구름을 만들지 못할 경우 높은 고도의
수증기
가 줄어 구름의 양이 감소하는 원인이 된다. 구름이 옅어지면 지구에 유입되는 햇빛이 증가하고 대기에 더 많은 열이 가해지면서 온난화를 가속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셔우드 교수는 “기후 모델이 ... ...
새해 목표도 금연? '전자담배'보다는 그냥 끊는게 답!
동아사이언스
l
2014.01.01
전자담배 - 위키미디어 제공 ‘전자담배’는 니코틴이 녹아있는 액체를 가열시켜
수증기
를 만드는 전자기기다. 흡연자의 입이 닿는 ‘마우스피스’와 액체가 담겨 있는 ‘무화기’, 이를 가열하는 ‘배터리’ 등으로 구성돼 있다. 평균적으로 15모금 정도 빨아들일 때 섭취하는 니코틴 양이 ... ...
우리나라도 '슈퍼태풍' 안전지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5
기본적으로 태풍이 발생하려면 △26.5도 이상의 따뜻한 바닷물 △구름을 발달시킬 풍부한
수증기
△태풍 연직구조 유지를 위한 상층부와 하층부의 미미한 바람세기 차 △대기의 반시계 방향 회전 등 네 가지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필리핀해를 비롯한 인근 지역은 이 조건에 맞아떨어진 덕분에 매년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