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사
바다
해병대원
바다위
파두
해운
뉴스
"
해상
"(으)로 총 1,715건 검색되었습니다.
닷새 앞으로 다가온 누리호 3차 발사…위성활약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3.05.19
호 개발을 주도한 장태선 KAIST 교수는 "이번에 누리호에서 관측 임무를 수행하는 SAR은
해상
도가 세계 최고 수준은 아니지만 국내 개발진이 개발과정의 핵심을 도맡았다는 사실이 중요하다"며 "목표했던 관측영상을 무사히 획득하면 국산 영상레이더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틀이 될 것"이라고 ... ...
해조류 성분으로 미래 '배양육' 만들까...고
해상
도 바이오잉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17
낮아졌다. 형태가 변형된 후 원래의 형태로 다시 돌아올 수 있어 프린팅 결과물의
해상
도와 적층 능력을 높였다. 연구를 이끈 차형준 교수는 “천연 생체물질을 기반으로 안정적이고 높은 세포 탑재 능력을 지니는 바이오잉크를 실제 3D 바이오프린팅에 적용하여 효과적인 인공 조직용 구조체를 ... ...
NASA가 분석한 '다누리' 영상...달 착륙지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달의 남극에 아주 가까운 '섀클턴 크레이터'의 내벽과 바닥면을 역대 가장 선명한
해상
도로 볼 수 있다. 달에 존재하는 암석과 토양의 특성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사진에선 달 적도 인근의 '브루스 크레이터' 내부에서 흙이 흘러내린 흔적이 드러났다. 이 지역은 빛이 ... ...
첫 실전 발사...누리호 발사까지 남은 일정은
동아사이언스
l
2023.05.07
개발한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지구와 근지구 궤도 우주방사선 관측에 나선다. 국산화한
해상
도 5m, 관측폭 40m의 X-대역 영상레이다(SAR)를 활용한다. SAR 외에 상변환물질 적용 열제어장치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갈릴레오 복합항법 수신기, 태양전지배열기 등이 탑재된다. 임무 수명은 2년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빗해파리 신경계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23
중 하나”라며 “신경계 기원과 진화를 조사하는 데 유용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고
해상
도 3D 투과 전자현미경을 활용해 빗해파리를 분석했다. 초고속 투과전자현미경은 광전자 펨토초 펄스를 광음극에서 생성하고 높은 에너지로 가속해 원자 크기보다 짧은 피코미터(1조분의 1m) 수준의 파장에 ... ...
[주말N수학] 우주시대 앞당기는 3D프린팅 뒷받침하는 '수학'
2023.04.15
자원을 활용한 무인 달 탐사 ‘로버’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로버에는 각종 센서와 고
해상
도 카메라가 장착돼 있다. 왼쪽부터 채굴 로버, 달 탐사 로버, 월면토를 이용해 적층제조로 만든 기둥이다. UEL 제공 ● 수학은 원하는 것을 만드는 언어 친환경 에너지 사용의 필요성이 높아지며, 태양 ... ...
인공지능 기술 더해 더 선명해진 블랙홀
동아사이언스
l
2023.04.14
디미트리오스 프살티스 미국 조지아공대 교수는 “블랙홀 이미지를 공개한 지 4년 만에
해상
도를 최대로 끌어올린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또다른 이정표를 세웠다”며 “우리가 개발한 새로운 기계학습 기술은 블랙홀 물리학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영화 '인셉션'이 현실로?...기억 복구 미래 기술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14
반응 범위를 좁혔다”며 “특정행동에 관여하는 신경세포들을 기존 대비 더 높은 시공간
해상
도, 더 높은 효율로 표지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실험 쥐 연구에서 캘라이트 기술로 뇌 질환 치료 가능성을 입증했다. 기존 기술로는 신경세포 표지와 활성조절 효율이 낮아 불가능했던 ... ...
튀르키예 대지진으로 땅덩이 최대 6.6m 이동
동아사이언스
l
2023.04.14
연구현황’을 13일 발간했다. 이번 분석은 원격탐사기법을 도입했다. 약 4m의 공간
해상
도를 가진 유럽우주국(ESA)의 위성 ‘센티널-1’과 ‘센티널-2’의 관측자료를 활용해 지진으로 인한 지표변형을 분석한 것이다. 2월 튀르키예 지진은 규모 7.8을 기록했다. 튀르키예는 아나톨리안판에 위치한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엑스선 현미경
해상
도 한계 극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렌즈를 제안해 입사되는 엑스선을 회절시켜 만든 무작위 회절 패턴 속에 시료의 고
해상
도 정보가 들어있음을 수학적으로 규명했다. 실제 시료 정보를 추출해 영상화하는 데도 성공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동혁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이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버나드 팔슨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