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손
불리
해
공동해손
공동
단독해손
단독
뉴스
"
훼손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부과 레이저기기로 문화재 복원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07
“레이저는 원하는 부위의 정밀한 제거가 가능해 약품을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2차
훼손
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동 유물 레이저 처리 전(좌)과 후(우). 문화재 복원의 핵심은 ‘원형 보존’이다. 레이저 크리닝 기법을 금동 유물에 적용하면 비록 석재 유물에 비해 효과는 떨어지지만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그 전처럼 언론과 학계는 여전히 에드워즈를 맹비난했고, 에드워즈는 여덟 차례나 명예
훼손
소송을 벌이기도 했다. 시험관아기는 어딘가 비정상일 거라는 ‘기대’와는 달리 자연임신으로 태어난 아이들과 별 차이가 없다는 게 확인되면서 시술은 점차 확대됐고 전 세계로 퍼져 지금까지 500만 명이 ... ...
의료기기와 첨단 기계로 만드는 공룡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뒤 이 자료를 3D 프린터에 입력해 암석 안에 들어있던 화석만을 인쇄했다. 원본을
훼손
하지 않으면서 모조화석을 만든 것이다. 이세버 박사는 “정밀하면서도 빠른 속도와 싼 가격으로 모조 화석을 만들 수 있는 것이 최대 장점”이라며 “진짜 화석을 전시하기 어려운 박물관이나 학교에서 많이 ... ...
짧은 스침과 긴 여운, 아이손의 근일점 통과기
동아사이언스
l
2013.12.05
결론적으로 태양의 강한 열과 중력장으로 인해 아이손 혜성은 원래의 형체가 심하게
훼손
되었으며, 지금은 잔해만 조금 남아 있다고 판단되고 있다. 혜성체에서 얼마나 많은 승화가 일어나느냐는 그 표면적에 비례한다. 혜성체가 여럿으로 조각이 날수록 표면적은 더욱 늘어난다. 마치 소고기 ... ...
아이손 혜성, 보이지 않는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01
태양계로 접근하고 있는 아이손 혜성의 모습. 11월 15일 칠레 라실라 천문대(La Silla Observatory)에서 트라피스트(TRAPPIST) 국립망원경으로 촬영했다. - 라실라 천문대 제공 금세기 최대의 우주쇼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됐던 혜성 ‘아이손(ISON)’의 생존여부를 놓고 설왕설래 말이 많다. 태양에 근접 ... ...
발굴의 한 획을 그은 천마총
동아사이언스
l
2013.11.27
말 안장의 좌우에 매달던 것이므로 처음 발굴될 때는 2장이 겹쳐 있었다. 한 장은 심하게
훼손
되어 있었으나 같은 그림으로 된 나머지 한 장은 무사하여 이것이 국보 207호이다. 천마도 - 이종호 박사 제공 천마도는 신라뿐 아니라 삼국시대 전체를 통틀어 벽화를 제외하면 가장 오래된 그림이며 ... ...
신라가 망한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13
이 있다. 금령총과 식리총은 1924년 일제강점기 때 마구잡이로 발굴되어 유적이 크게
훼손
되었다. 노서동고분군(사적 제39호)은 표형분(瓢形墳) 1기를 포함하여 14기의 고분이 있다. 이 중에 서봉황대 금관총 서봉총 호우총과 부부합장묘로 추정되는 쌍상총, 말 뼈가 발견된 마총 등 8기가 발굴 ... ...
과학기술문화 교류 흔적 고스란히 담긴 무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2
이 있다. 금령총과 식리총은 1924년 일제강점기 때 마구잡이로 발굴되어 유적이 크게
훼손
되었다. 노서동고분군(사적 제39호)은 표형분(瓢形墳) 1기를 포함하여 14기의 고분이 있다. 이 중에 서봉황대⋅금관총⋅서봉총⋅호우총과 부부합장묘로 추정되는 쌍상총, 말 뼈가 발견된 마총 등 8기가 ... ...
7척 장신의 미녀 여왕의 무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진덕여왕의 능묘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한편 진덕왕릉은 1997년 왕릉 동북쪽 윗부분이
훼손
된 채 발견돼 전문 도굴꾼들에 의해 도굴된 것으로 추정되어 세상을 놀라게 했다. 그러나 문화재관리국이 유물이 실제로 도굴됐는지 여부에 대한 조사작업을 벌인 결과 유물은 도난되지 않은 것으로 ... ...
선덕여왕의 총명함을 드러낸 세가지 예언
동아사이언스
l
2013.10.22
초소를 지어 놓고 교대로 문화유산인 부산성도 관리하고 외부인들의 축사 건설 등 자연
훼손
을 미연에 방지한다고 한다. 부산성을 지나치지 않았다면 우측에서 빠지지 말고 보아야 할 곳이 있다. 부산성 아래에 위치하는데 멀리서 바라 본 모양이 마치 여자의 음부를 닮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은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