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스페셜
"
아래
"(으)로 총 1,217건 검색되었습니다.
앱으로 딥페이크 의심 영상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음란물 제작 등에도 악용돼 개인 인권을 크게 침해하고 있다. 위 사진이 원본 영상,
아래
사진이 딥페이크 영상이다. 카이캐치는 얼굴 추출 과정을 거쳐 딥페이크를 탐지하는데 얼굴 부위만 추출해 얼굴 주위 미세신호 흔적을 분석(2)하는 기술과 얼굴 이외 부위를 삭제하고 얼굴 내부 미세신호 ... ...
[잠깐과학] 실제 나이에 ±6하면 신체 나이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입은 양옆으로 길쭉해지고 코는 펑퍼짐해지며, 입과 코 사이 간격이 벌어졌다. 눈 꼬리가
아래
로 처지고, 전체적으로 피부가 늘어지는 일반적인 특징도 찾았다. x축과 y축, z축을 기준으로 한, 얼굴 입체 구조에 따른 열 분포도. 중국과학원 제공 연구팀은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3차원 사진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섬모충은 이름대로 세포 표면에 작은 털이 많다. 추크호수는 수심이 200m에 이르는데 160m
아래
심층수는 무산소층이다. 흥미롭게도 심층수의 수심이 깊어질수록 섬모충의 서식 밀도가 높아지고 질산염의 농도가 낮아진다. 연구자들은 섬모충이 질산염 호흡으로 질산염을 소모한 결과라고 추정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특수상대성 이론이 등장하기까지
2021.03.18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면 객차의 뒤쪽으로 밀려 떨어지지 않고 바로 발
아래
에 떨어진다. 따라서 이런 실험만으로는 배(또는 지하철)가 움직이는지 정지해 있는지 확인할 수가 없다. 지구의 자전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이유로 갈릴레오는 상대성 이론의 원조로 꼽힌다. 갈릴레오의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우리 집 개와 고양이가 코로나19를 옮길 위험이 있을까
2021.03.18
사람과 접촉 가능성이 높은 동물들을 중심으로 28종의 고위험군을 선발했다. 그 결과는
아래
그림과 같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감염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 동물들. 출처 Lam et al., 2020 실제로 사스코로나바이스-2에 대한 동물 감염 시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현재까지 감염이 보고된 동물의 ... ...
그린란드 빙하 1.4km
아래
에서 발견된 나뭇잎…“그린란드는 한 때 ‘녹색땅’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훨씬 더 쉽게 녹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그린란드의 약 1.4km(4560피트) 빙상
아래
에서 파낸 퇴적물 덩어리를 조사하다가 이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이 퇴적물은 사실 냉전시대의 산물이다. 1966년 미군은 옛 소련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그린란드 등 북극권에 핵미사일 600개를 숨길 목적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래핀 뛰어 넘는다는 '보로핀'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4
매끄럽고 고른 평면처럼 보이지만 보로핀은 붕소 원자가 서로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위
아래
로 구부러지는 골판지처럼 보인다. 튀어나온 돌기는 전기 전도도와 같은 물질의 성질에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연구팀은 “수소화하게 되면 보로핀은 공기 중에서도 며칠동안 안정적이다”며 “보로핀의 ... ...
[프리미엄 리포트] AI의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
과학동아
l
2021.03.13
해결하지 못하고 2017년 폐기에 이르렀다. 연합뉴스 제공 AI 편향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아래
표)중 하나는 데이터의 불균형이다. KAIST 인공지능공정성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는 유창동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는 “데이터가 많은 집단에 대해서는 AI가 학습을 통해 그 집단의 비교적 보편적인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불평등에 대하여
2021.03.12
우리의 연구결과는 연구비 선정결과의 문턱 바로 위에 위치하는 과학자들이 문턱 바로
아래
위치하는 과학자들보다 무려 두 배 이상의 누적적 성공을 거둔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두 과학자 그룹의 연구비 심사결과 점수는 거의 비슷했지만, 결국 이런 큰 차이로 나타난 것이다. 연구비 선정에서 ... ...
한국 첫 소행성 탐사 타깃 ‘아포피스’ 지구 근방서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조건이 마련된다는 의미다. 초록색원 표시한 부분이 소행성 아포피스이다. 후반부에
아래
로 궤적을 그리며 지나가는 것은 인공위성이다. 천문연 제공 천문연은 2025년부터 2030년 사이에 소행성 탐사선을 발사할 경우 2000여개가 넘는 지구위협 소행성 중 탐사선의 ‘속도증분’이 초속 6km 이하로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