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력자
공동 작업자
스페셜
"
일의 동료
"(으)로 총 49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해자에 동조하는 사람들
2019.03.30
93). 연구자들은 사람들에게 여덟 가지 가상의 시나리오를 보여줬다. 예컨데 남성 A가 직장
동료
여성 B에게 ‘벌이가 시원찮으면 노출을 좀 더 해봐’ 같은 부적절한 성적 발언을 하는 상황이다. 이 남성은 과거에도 여러번 이와 같은 부적절한 행동으로 물의를 일으킨 바 있으며 이에 회사에서 남성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친구가 없는 이유
2019.02.02
상처받기 싫다는 게 주된 동기이기도 하다. 영국 에든버러대 시어러 길 교수와
동료
들의 연구에 의하면 스스로에게 너그럽고 따듯할 줄 아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상처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이 적은 편이다. 예컨데 실패를 했을 때 ‘이 바보야 너가 그러니까 안 되지’라며 자신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있기 때문이다. 곰비국립공원 제공 아침 일찍 일어나 실컷 먹고 한두 시간 낮잠을 자거나
동료
와 털고르기를 주고받다가 다시 먹고 또 낮잠을 자거나 친구들과 놀다가 일찌감치 저녁을 먹고 나무 위에 잠자리를 만든 뒤 잠든다. 시간으로 따지면 하루 8~10시간은 쉬거나 털고르기를 하거나 먹으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평가절하했다. 샤츠가 운 좋게 그 일을 맡은 것일뿐이라는 말이다.
일의
전개 과정을 잘 알고 있던 러트거스대 교수들은 이런 결정이 부당하다고 ... 지도교수인 MIT 물리학과 파블로 자릴로-헤레로 교수(맨 왼쪽)와
동료
연구자들이 실험실에서 포즈를 취했다. 차오위안은 보이지 않는다. 그래핀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폐쇄하게 됐다는 말은 그를 그만큼 높이 평가하는 것처럼 들린다. 그러나 서 교수와
동료
과학자들이 고생고생해 ‘한 단계 끌어올린 한국의 면역학’을 불과 십억여 원의 가치를 회수하겠다고 ‘다시 한 단계 끌어내려’ 원상태로 돌려놓겠다는 건 서 교수에 대한 예의가 아닌 게 아닐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수 있다는 사실은 20년 전인 1998년 미 국립보건원의 이서구 박사(현 연세대 석좌교수)와
동료
들이 처음 보고했다. 이번 결과는 이 교수의 가설을 입증하는 또 다른 예인 셈이다. TCA 회로의 중간물질로만 알았던 숙신산(succinate)이 갈색지방조직(brown fat)에서 열생성 반응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그는 당대 유명한 천문학자이자 ‘정상 우주론’의 옹호자였던 프레드 호
일의
연구실에 들어가길 원했다. 그러나 거절당하고 데니스 시아마라는 잘 ... 직업이었다. 1979년 3월 미국 프린스턴에 있는 고등연구소에 방문해
동료
들과 환하게 웃고 있는 호킹. -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제공 "블랙홀에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박사
2018.04.10
과학자 호킹이 지도한 학생 중 한국인 제자는 없었다. 그러나 그의 연구 인생은 많은
동료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줬다. 물리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의 가장 큰 업적은 블랙홀이 입자를 내놓는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다. 호킹 박사는 1990년과 2000년 두 차례 한국을 방문해 한국과 인연을 ... ...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
2018.03.15
평가도 나온다. 이형목 한국천문연구원장은 “호킹 박사와 학창 시절을 같이 보낸
동료
와 자주 이야기를 나눴다”며 “케임브리지대 대학원 시절 호킹 박사는 그리 특출하지 않았지만 발병 이후 오히려 연구에 더 집중하면서 놀라운 업적을 이룰 수 있었다는 말을 하곤 했다”고 말했다. 스티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직장이 더 위험하다. 성폭력의 약 60-80%가 낯선수상한 사람보다는 가족, 친척, 학교나 직장
동료
, 연인이나 배우자 등 일상 속의 ‘아는 사람’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이다. 성폭력의 60-80%가 가족, 친척, 직장
동료
, 연인 등 '아는 사람'에 의해 일어난다. GIB 제공 약 30개국을 대상으로 한 2004-2005 UN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