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응
순화
조화
순종
동화
융통
적합
스페셜
"
적응
"(으)로 총 446건 검색되었습니다.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2016.07.19
수 있을까? 아마 매우 어려울 것이다. 생존이 위험한 상황에서 마냥 행복해 하는 것은 부
적응
적이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어느 정도 먹고 살만한 선을 넘어서면 돈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줄어들기 시작한다. 돈이 행복이 미치는 영향은 한계효용(declining marginal utility)의 곡선을 따른다. 어느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있을 경우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선천면역과
적응
면역이 분리된 게 아니라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한편 장내미생물 역시 21세기 들어 르네상스를 맞고 있다. 메치니코프 시절 반짝한 이 분야의 발전이 지지부진했던 건 장내미생물 ... ...
피할 수 없을 땐 자기합리화?!
2016.07.05
고발자가 홧김에 또는 편협한 마음에, (열심히 합리화하며
적응
해가는 나와 달리) 조직에
적응
을 못해서 조직의 이미지를 실추했다고 인지하는 현상 또한 연장선 상에 있겠다. 일상의 사소한 괴로움이나 자연재해 마냥 찾아오는 불행들의 경우 적당한 합리화가 의미 부여나 행복감을 느끼는 데 ... ...
"과학기술의 미래, 기초 연구에 달렸다"
IBS
l
2016.07.05
곳 중 하나가 대학이라고 생각한다"며 "진화론에 따르면 생존하는 것은 변화에 가장 잘
적응
하는 종인데, 이는 대학에도 적용되어야 할 것"이라며 발표를 시작했다. 김 학장은 대학의 역할에 대해 "과연 대학이 충분히 높은 수준의 인재를 키워내고 있는지, 연구실에서는 새로운 기술이 계속 창출되고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대상으로 한 논문이 실렸다. 다만 유전학은 아니고 생리학 분야로 환경에 따른 식물의
적응
력을 보여주는 실험이다. 그럼에도 멘델의 위상이 흔들리는 때라서 그런지 반가운 마음에 잠깐 소개한다. 동물의 경우 먹이가 풍족할 때는 안정적인 환경을 선호하고 부족할 때는 변이가 큰 환경을 선호할 ... ...
어디서 홈런이 더 잘 나올까?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6.08
경기장에서는 0.667개가 나온다는 계산이다. 앞으로 넥센 선수들이 새로운 구장에 얼마나
적응
하느냐에 달려있지만, 현재까지 홈런에 있어서 '고척돔 효과'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게다가 높게 뜬다고 전부는 아니다. 어차피 일반적인 타구의 경우, 홈런이 될 공은 높이 뜨든, 낮게 뜨는 홈런이 된다. ... ...
“참으면 더 좋은 걸 주지~” 마쉬멜로우 실험의 다른 이야기
2016.06.07
‘만족 지연’을 잘 하는 아이는 아니었겠지만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상당히 똑똑하고
적응
적으로 행동했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관련해서 또 한 가지 생각해볼만한 것이 상대적으로 ‘권력’을 가진 사람들과 가지지 않은 사람들 간의 심적 여유의 차이이다. Keltner 등 학자들의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
IBS
l
2016.06.02
연구단의 연구주제와 행정에 대해 그래닉 단장과 의논하는 한편, 외국인 연구원들이 잘
적응
하도록 돕고 있다. 또 연구단에서는 연성물리학 실험그룹을 이끌며 나노 크기의 엔진을 만드는 실험도 하고 액체와 고체 사이 경계면의 연구에도 주력하고 있다. 국내 연구로 뉴욕타임스에 ... ...
다른 사람은 나에 대해 얼마나 신경쓰고 있을까?
2016.05.03
있다는 신호일 수도 있다. 이렇게 우선 사람들을 어느 정도 의식하는 것은 자연스럽고 또
적응
적이라는 사실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pixabay 제공 그런데 만약 사람들을 의식하는 ‘정도’가 너무 지나치다면, 그 정도가 너무 지나쳐서 사사건건 너무 피곤하고 아무 것도 눈치보지 않고는 혼자서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미친 영향력이 과소평가됐다면서도 다른 이유를 들었다. 즉 복잡한 사회관계에
적응
하는 과정에서 뇌가 진화해 인지능력이 좋아졌다는 소위 ‘마키아벨리적(교활한) 지능’ 또는 ‘사회적 뇌’ 가설이 득세하면서 도구의 위상이 추락했다는 설명이다. 아무튼 이런 분위기가 우세하던 1990년대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