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지점"(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채널A] 완공 앞둔 경주 중저준위 방폐장 들어가 보니…채널A l2014.03.03
- 시설이 완공을 앞두고 공개됐습니다. 이영혜 기잡니다. [리포트] 경주시 양북면 지하 130m 지점. 높이 50m, 총 길이는 2km에 이르는 거대한 콘크리트 동굴의 막바지 공사가 한창입니다. 석 달 뒤 공사가 모두 끝나면 이 동굴 끝에 있는 저장고에서, 전국의 원전과 연구시설에 임시 보관중이던 '중저준위 ... ...
- 근육예찬동아사이언스 l2014.02.18
- 결국 역전돼 0.02초 뒤진다. ‘600m에서 최소한 1초는 앞서야 승부가 될 텐데…’ 이 지점에서 이미 필자는 이상화 선수가 1초 이상 뒤질 걸 예감한다. 결과는 1분 15초 94로 장홍과는 1초 92 차이다. 장홍 금메달. 이번엔 이상화 선수가 메달권에서 벗어났다. 스피드스케이팅을 보고난 뒤 문득 ... ...
- 과학을 알면 스키 더 잘 탈 수 있다! KISTI l2013.12.19
- 사람의 무게중심도 마찬가지야. 평지에 서 있을 때 사람의 무게중심은 배꼽 아래 약 2.5cm 지점에 위치하는데, 슬로프를 내려올 때도 관성에 의해 계속해서 그 자리에 있으려고 한단다. 그런데 다리는 벌써 슬로프 아래로 쭉 내려가 버리거든. 그렇게 무게중심이 뒤로 쏠리기 때문에 자꾸 뒤로 ... ...
- 주파수 전쟁이 벌어진다…“700MHz를 확보하라”KISTI l2013.12.19
- 디지털 방송용으로 할당하자’는 주장을 펴고 있다. 특히 양측의 논리가 충돌하는 지점은 ‘공익성’이다. 방송 측은 주파수가 공공재인 만큼 자신들이 활용해야 더 국민편익을 보장한다고 주장한다. TV 같은 뉴미디어는 훨씬 고도의 영상압축 기술이 필요하기에 반드시 여유 주파수를 확보해야 ... ...
-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3.12.02
- 공기의 저항 때문에 가벼운 건 얼마 못가 떨어지고 큰 건 더 멀리 간다. 운석을 찾은 지점을 빨간 점으로 표시했다. 이 운석들은 통틀어 ‘알마하타시타운석’이라고 부르는데 알마하타시타(Almahata Sitta)는 아랍어로 ‘6번 역’이라는 뜻이다. 운석 대부분이 사막을 남북으로 횡단하는 철도(노란선 ...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동아사이언스 l2013.10.30
- 많았다. 필자가 아침에 다니는 앞산 산책 코스 가운데는 100미터 정도 말벌들이 상존하는 지점이 있어 아예 ‘말벌 구역’이라고 명명했는데, 한창 때인 10월 중순에는 이 구간을 지날 때 말벌 이삼십 마리가 보였다. 따라서 왕복하면 오십여 마리와 마주치는 셈이다. 물론 말벌들은 그냥 지나치는 ... ...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KOITA l2013.10.18
- 앞뒤로 진동하며 조금씩 전체적으로 앞으로 나가는 상태를 유지한다. 위에서 보면 정체 지점이 마치 뒤로 조금씩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경우에 따라서는 느리지만 꾸준히 움직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동기흐름’이라고 한다. 당연한 말이지만 동기흐름 상태에서 운전자는 주변의 다른 ... ...
- “나노기술은 창조경제에 가장 적합”동아사이언스 l2013.09.13
- 그런 전지를 개발하려면 앞에서 발한 바텀업 나노 원천기술이 필요합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나노기술을 통한 신시장 창출의 맥이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술은 세계 최고라 자부할 만하다. 이미 20나노급 메모리 소자를 상용화할 만큼 기술 선진국이다. 그러나 ... ...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KISTI l2013.09.12
- 우리나라가 국제해저기구(ISA)에서 확보한 독점 탐사 광구는 하와이 동남쪽 2,000km 지점에 있다. 클라리온-클리퍼톤 해역이라 불리는 우리 광구의 넓이는 7만 5000㎢로 남한 면적의 4분의 3 정도다. 이 바다 속 5,000m 아래에는 총 추정량 5억 1,000만 톤, 채광 가능한 추정량 약 3억 톤에 이르는 망간단괴가 ...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KOITA l2013.09.10
- CQD를 타전하기 10분 전부터 무선원이 자고 있어 대응할 수가 없었다. 결국 사고지점에서 90km 가까운 곳에 있던 카르파티아호가 요청에 응했지만 사고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3시 55분, 배가 완전히 침몰하고 1시간 30분이나 지난 후였다. 타이타닉호의 침몰은 큰 비극이었지만 무선통신이 ... ...
이전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