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11
대한 이해가 기본이 된 탓에 DNA의 작동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일이 어렵지 않았다.
박사
후연구원 생활을 하던 텍사스대에서는 노벨 화학상(1977년)을 수상한 물리학자 프리고진을 만나 생명현상에 대한 관심을 지속시킬 수 있었다. 프리고진은 열역학적 방법으로 생명을 이해하는 연구를 진행중이었다 ... ...
비스킷은 왜 부서질까
과학동아
l
200311
점차 작은 균열들이 생기고 결국 비스킷이 부서진다.살림씨의 지도교수 리키 윌드먼
박사
는 “비스킷을 보통 때보다 낮은 온도에서 오랫동안 구움으로써 비스킷 내에 있는 수분 함량의 변화를 줄여 잘 부서지지 않는 비스킷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물리학회에서 발행하는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11
법률가로 사르데냐 왕국의 요직에 있었다 아보가드로도 법률교육을 받아 1796년에 교회법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법률 실무에 종사하면서 독학으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여 전기 등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그 결과 l806년 토리노 대학의 조교수로 채용되고 09년에는 토리노에 가까운 베르첼리의 ... ...
인체의 온도 감지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200311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연구실에서는 현재 연구교수 1명,
박사
후과정 1명과 함께
박사
과정5명, 석사과정 3명의 학생들이 온도 감지 메커니즘의비밀을 밝히기 위해 땀흘리고 있다 ... ...
1 21세기, 촉각을 재발견한다
과학동아
l
200311
haptics) 분야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 김종호
박사
는 “시청각정보가 아무리 완벽하게 재생되더라도 실제 상황의 70%정도만을 전달할 수 있을 뿐”이라며 “여기에 촉각정보가 더해져 85-90%의 정보가 전달되면 생생한 현실감이 느껴질 것”이라고 말한다.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11
처음 주장한 사람은 미국 하버드대 의대 신경학자인 제임스 나탄손
박사
다.나탄손
박사
는 1984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카페인이 많은 곤충과 그 유충의 행동과 성장에 장애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밝혔다. 카페인에 중독된 모기의 유충, 즉 장구벌레는 헤엄을 제대로 못쳐 물표면에 ... ...
세포막의 출입구, 물·이온 통로 밝혀내
과학동아
l
200311
1986년 보스턴에 있는 부란데이스대의 크리스 밀러의 실험실에서 전기생리학을 주제로
박사
후 과정을 시작했다.그가 실토했듯이 나이 30에 연구 경력을 시작한 셈이다. 1989년 하버드대에 부임해 정교수까지 승진했다. 1996년 록펠러대로 옮긴 뒤 이온통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독학으로 생소한 X선 ... ...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11
수 있는 세포다. 때문에 의학적으로 그 가치가 높아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김봉한
박사
의 관찰에 따르면 산알은 봉한관을 따라 흐르다가 상처가 난 부위에 가서그 부위의 세포로 분화된다고 한다. 그의 논문에서는 간세포로의 분화와 혈구세포로의 분화 관찰이 자세히 기술돼 있다. 이런 ... ...
한국 태양광 기술 몽골 사막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11
한몫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사업 전담관리기관인 에너지관리공단의 김계수
박사
는 “게르 10만호에 발전시설을 공급할 몽골 정부 계획에 한국의 참여 기반을 확보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업팀은 10일 울란바토르에서 태양광 가로등과 분수대의 점등식 및 제막식도 개최했다 ... ...
최초의 나노과학자 돌턴
과학동아
l
200311
축구 선수들이 진짜 축구공으로 강연에 온 어린이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14일 크로토
박사
가 강연을 한 곳은 맨체스터 시청이다. 이곳에서도 돌턴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데, 시청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돌턴의 조각상이 서있다. 맞은편에는 그의 제자이며 열역학 제1법칙을 발견한 제임스 줄의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