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6,184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이 가장 멀어지는 7월 여름
과학동아
l
200107
더운 여름날, 저무는 태양을 바라보며 이 사실을 다시 한번 상기해보자. 태양의 겉보기
크기
가 다른 때보다 더 작고 태양까지의 거리가 더 멀다는 사실을.금성과 토성 1등성과 나란히 장마가 지나가는 7월 중순, 새벽하늘에 먹구름 사이로 볼거리가 펼쳐진다. 17일 새벽 휴일이라 늦잠 생각이 ... ...
전자 및 광학재료실험실 포스트 D램 반도체 시대 연다
과학동아
l
200107
주도하고 있는 반도체소자는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마이크로(1㎛=10-6m) 수준의
크기
다. 그러나 이보다 훨씬 작은 AFM이라 불리는 원자현미경을 통해서야 볼 수 있는 나노미터급 기억소자를 만든다면 현재의 기가(1Giga=109)보다 1천배가 빠른 테라(1Tera=1012)비트급 반도체 칩을 만드는 것도 ... ...
1. 가물치
크기
의 슈퍼미꾸라지 해양식량난 대안, '프랑켄피쉬' 비판도
과학동아
l
200107
최근의 연구경향은 크게 세가지다.우선 다른 종 또는 같은 종의 성장호르몬을 이식해
크기
나 성장속도를 증가시킨 신품종 연구가 있다. 슈퍼연어나 슈퍼미꾸라지뿐 아니라 미국에서는 성장호르몬을 이용한 슈퍼새우 연구도 진행중이다.두번째는 유전자를 조작해 우량품종을 개발해내는 방법 ... ...
왜 과학자들은 블랙홀에 빠질까
과학동아
l
200107
기초과학의 열쇠라는데 있다. 즉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블랙홀이 관여하는 에너지의
크기
는 인간이 감히 흉내조차 낼 수 없는 엄청난 값을 갖기 때문이다.우주가 벌이는 고에너지 실험들을 우리는 X선 망원경과 같은 우주망원경을 통해 구경만 하면 된다. 예를들어, 빛보다 빠른 속도로 운동하는 ... ...
2. 실제 실험 뛰어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컴퓨터의 강력한 오른팔 알고리즘
과학동아
l
200107
하기 위해 5km 간격으로 줄여서 계산을 한다면 어떻게 달라질까. 우선 필요한 데이터의
크기
는 4배로 늘어난다. 따라서 계산량은 64배가 돼 계산에는 무려 약 11시간이 소요된다. 이처럼 복잡성의 정도를 통해 데이터의 양이 증가할 때 어느 정도로 알고리듬의 계산량이 증가하는지를 알 수가 있다. ... ...
1. 인간배아 이용한 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0107
냉동보존하지 않은 배아(생배아)를 바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윤리적 문제가
크기
때문에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런 시도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폐기될 운명의 냉동배아에서 어떻게 줄기세포를 얻는 것일까. 우선 영하 1백96℃의 냉동상태에서 37℃로 해동해 착상전 단계까지 배양한다.착상전 배아는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07
‘mgsinθ- 마찰력’이란 식이 되겠지요. 빗면에서의 운동마찰력이나 최대정지마찰력의
크기
는 μmgcosθ로 나타나니까, 알짜힘은 mgsinθ - μmgcosθ가 될 겁니다.요약옆이나 비스듬한 방향으로 던진 포물선 운동체의 운동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을 각각 나눠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방향의 위치를 ... ...
유전자조작식물 화성 개척한다
과학동아
l
200107
이런 가혹한 환경을 개척하기 위해 잡초라 할 수 있는 애기장대가 선택됐다. 애기장대는
크기
가 20cm 정도지만 한세대가 5주 정도로 기간이 짧고, 식물 최초로 전체 유전자 지도가 작성돼 있어 다양한 유전자조작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NASA는 애기장대를 실은 우주선을 2007년에 발사할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07
이어 탁자형 고지의 윗면과 옆면이 물에 의해 침식됐다. 결국 계속적으로 침식이 일어나,
크기
는 작아지고 모양은 피라미드형(또는 원추형)이 됐다.분명 고대 이집트인들도 피라미드의 형태를 선택할 때 이런 사막지형을 연구했을 것이다. 이를 입증할 만한 두가지 사실이 남아있다. 하나는 이들이 ... ...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
과학동아
l
200106
화성 남쪽 끝에서 환히 빛나고 있는 극관을 볼 수 있다. 이 극관은 화성의 계절에 따라
크기
가 달라지므로 이번에 화성이 접근할 때도 화성이 멀어질 때까지 장기적으로 관측해보면 변화를 알아낼 수 있다.이밖에 화성 표면에 존재하는 거대한 지형과 계절에 따라 바뀌는 대기 변화도 지구에서 볼 때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