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d라이브러리
"
때
"(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고구마 마차가 온 사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렌터카 꿀록 대리님, 본분을 잊으시면 안 되죠. 동화대로에서 미끄러진 차들
때
문에 오늘 새벽 내내 일해도 모자라다고요!”“힝. 렌터카 누가 꿀알바래… ... ...
[한페이지 뉴스] 모래+박테리아=살아있는 콘크리트?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센서 기능을 갖춘 건축 자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달이나 화성에 기지를 만들
때
응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매터(Matter)’ 1월 15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16/j.matt.2019.11.01 ... ...
[천리안 2B] 해양탑재체 총괄 용상순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또 해양탑재체는 주변 지역에 쓰나미 등 해양 재난이 발생했을
때
재난 발생 지역만 선택적으로 관측할 수도 있고, 하루에 한 차례는 탑재체가 볼 수 있는 지구면 전체인 전구 관측도 수행한다 ... ...
미세먼지 많은 겨울철, 창문 열어? 말아?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수사대’ 동행 취재 후기 ‘과학 덕후’의 일상에 찾아온 작은 행복 초등학교 6학년
때
부터 과학동아를 봤다. 매달 모든 기사를 다 읽는다. 얼마 전 미세먼지가 심했던 날 공기청정기를 틀다가 문득 의문이 생겼다. ‘이 공기청정기가 정말 우리 집안을 깨끗하게 해주고 있는 걸까?’ 과학동아에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 보통난이도 | 아시안 게놈 분석 지난해 1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아시아의 64개 국가, 219개 민족, 1739명의 유전자를 분석한 연구 ... 진화 과정과 역사를 추적한다. 과거의 역사가 현재 인류의 유전적 특성을 결정짓기
때
문이다. 본인을 ‘조상 찾기의 달인’으로 표현한다. HLKIM@ntu.edu ... ...
[ 과학동아 X Geekble] 미세먼지 캐리어 마스크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그런데 미세먼지는 없었습니다. 겨울철에 시베리아에서 발달한 대륙성 고기압이 강할
때
면 매우 추운 대신 미세먼지는 적은 날이 이어지는데, 그런 날이었습니다.미세먼지가 적으니 미스트 시연에 더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긱블의 새로운 메이커 찬스 님이 (인체)시험의 대상이 됐습니다. 미스트 ... ...
4000년 역사 ‘근의 공식’ 이제는 외울 필요 없다?! 2차 방정식 푸는 쉽고 새로운 방법 찾았다!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공식에 대한 4000년의 역사와 그동안 증명을 마주했을 수십 억 명의 사람들을 생각할
때
이 방법이 오늘날까지 인간의 발견을 피할 수 있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며, “그럼에도 이 방법이 알려지거나 가르쳐지지 않았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말했습니다. 브렌트 요기 미국 헨드릭스칼리지 ... ...
[스타쌤 수학공부 꿀팁] 수학으로 소통하고 수학으로 관계 맺기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나면 잘 정리된 자신만의 개념 책이 생깁니다. 2학년 박한휘 학생은 “문제를 풀
때
공식을 쓰기 보다는 왜 그 공식이 나왔는지 설명하는데 집중하는 것도 개념 이해를 확실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됐어요”라고 말했습니다. 수학교사 동아리로 노하우 교류!이 선생님은 학생뿐만이 아니라 ... ...
[천리안 2B호] 위성 본체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밤 10시까지 점검을 진행해야 했다”며 “1년 전에 같은 과정을 한 번 겪었기
때
문에 그
때
보다는 조금 수월하겠지만 언제 어떤 변수가 또 나타날지 모르니 긴장을 늦출 수 없다”고 말했다.천리안 2B호의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2011년부터 이어진 긴 여정이 일단락된다. 최 단장은 “1년 전에 ... ...
[이달의 책] 지동설은 맞고, 천동설은 틀리다? 외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구분해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학문이 아니다. 현재 시점에서 발견된 증거에 비춰봤을
때
좀 더 설명하기 좋은 이론을 옳다고 판단하고 받아들일 뿐이다. 과학자에게 100% 완벽한 이론은 없다. 더 좋은 이론과 덜 좋은 이론이 있을 뿐이다.옳고 그름만으로 생각하기보다는 합리적으로 의심하고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