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4 광촉매로 에너지 추가 없이 수소 생산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결과는 미국의 화학학술지인 ‘케미컬&엔지니어링 뉴스’에 게재됐다. 이 교수는 같은
빛
에너지에서 수소의 발생효율을 기존 5%에서 23%로 크게 향상시켰다.하지만 우수한 효율에 비해 페롭프스카이드 광촉매는 제조가 어렵고 재현성에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 태양광의 대부분인 ... ...
화성이 핏
빛
으로 물든 사연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화성탐사선 바이킹이 표면에 착륙한 후 풍경을 찍어 보내온 사진에도 역시 온통 붉은
빛
뿐이었다. 화성 표면의 붉은 토양은 바위 속의 철분이 오래 전 풍부했던 물 때문에 녹슨 후 표면에 노출됐기 때문이라고 많은 과학자들은 생각한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우주 먼지 때문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 ...
1 예수의 동생 유골함은 가짜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크다. 솔로몬왕의 신전이 있었다는 성전산에는 서기 692년 세워진 팔각형의 기단과 황금
빛
돔으로 이루어진 이슬람사원인 ‘바위의 돔’(Dome of the Rock)이 있다. 이 사원은 성전산의 큰 바위 위에서 이슬람교 최고의 선지자 모하메드가 승천했다는 전설에 따라 그의 발자국이 남아 있다는 바위를 ... ...
부작용 없는 제2의 비아그라 개발된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이렇게 만든 결정에 포항 방사광 가속기에서 나오는 강력한 X선을 조사해 회절·산란된
빛
의 무늬를 얻었고 이를 분석해 결정내에서 각 원자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파악했다. 즉 단백질-약물 결합체의 3차원입체구조를 밝힌 것이다.구조를 분석해본 결과 예상대로 약물들은 cGMP가 결합하는 효소의 ... ...
2 말소리 죽이고 외부
빛
차단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것은 나노기술구현에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유리벽을 통해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
은 나노공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나노팹에 유리를 장착할 경우 광투과성이 0%에 가까워야 한다.자유로운 이동 위한 전체적인 청정현재 과학기술부가 추진하는 나노종합팹은 이와 ... ...
2 미생물을 이용해 생산하는 21세기 청정연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광합성은 엽록체라는 특수한 세포에서 일어나는데, 크게
빛
이 필요한 명반응과
빛
이 필요 없는 암반응의 두단계로 나눠 이뤄진다. 명반응에서는 물을 분해해 산소와 양성자가 발생되며, 암반응에서는 전자전달계라는 복잡한 과정을 통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고분자물질인 탄수화물로 바뀐다. ... ...
자동 주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다음 그 위에 금속 또는 산화카드뮴으로 된 반투명 박막을 접착시킨다그리고 이 박막에
빛
을 쬐면 셀렌 결정층과 박막 사이의 경계에 광기전력 효과가 생겨 전하를 만든다기판과 박막을 외부회로로 연결하면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금속기판(철 또는 알루미늄)에 셀렌을 진공 증착하여 만든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또 태양 반대방향으로도 1백20도 이상 기울일 수 없는데, 이는 태양전지에 충분한 태양
빛
이 공급되고 태양광 차단판이 망원경의 꽁무니를 제대로 가릴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그림 4). 이처럼 망원경 각도에 대한 제한이 있기 때문에 SIRTF는 하늘 모든 영역을 관측할 수 없고 시기에 따라 가능한 ... ...
갈릴레오호의 탐험 역사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결정학적 방위의 해석이나 습곡·단층의 봉계학적 해석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미약한
빛
을 내는 천체를 짧은 시간에 촬영할 수 있는 특수한 반사망원경 독일의 천문 광학가 B 슈미트가 1931년에 고안한 광학계(光學系)로 되어 있다 입력 진폭이 특정한 값을 넘으면 급격히 작동하여 거의 일정한 ... ...
4 인간 감성 충족시키는 생각하는 기계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오늘날의 컴퓨터를 만드는 토대를 이뤘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독립적인 연구분야로
빛
을 본 것은 1956년 매카시(J. McCarthy)와 민스키(M. Minsky), 사이먼(H. Simon), 뉴엘(A. Newell) 등의 학자들이 미국의 다트머스대에서 가진 모임에서부터다. 이들은 인간처럼 지능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