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W5 코드 브레이커] 해커와의 한판 승부, 사이버 정보 전쟁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알아내 비대칭 암호체계마저 파괴하곤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학자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암호체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그 중 올해 초 서울대 수학과 천정희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완전동형암호’는 비대칭 암호체계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수학적인 원리를 ... ...
[과학뉴스] 무서운 신종 조류독감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중국에서 나타난 신종 조류독감이 전 세계를 위협하고 있어요.올해 중국 남부에서 처음 등장한 신종 조류독감은 4월 19일 현재, 중국 북쪽에 위치 ... 세계에 대유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어요. 대유행을 막으려면 변종 바이러스에 대항할
새로운
백신 개발에 세계가 손을 잡아야 해요 ... ...
초파리 ‘입맛’ 까다롭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가장 따뜻한 곳을 무는 경우가 많은데, 모기에게서 비슷한 온도센서를 발견한다면
새로운
모기 기피제나 퇴치제를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개리티 교수는 “곤충이 어떻게 열을 감지하고 반응하는지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다면 말라리아나 수면병 같은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 ...
테디베어 닮은 신종 포유류 발견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연구하기 위해 세계 곳곳의 박물관에 있는 올링고 표본을 조사했다. 그런데 뜻하지 않게
새로운
종이 섞여 있었다는 사실을 알아 낸 것이다.첫 번째 실마리는 올링귀토의 이빨과 두개골이었다. 일부 이빨과 두개골이 올링고보다 작고 다르게 생겼던 것이다. 현장 기록을 조사한 결과 이들은 안데스 ... ...
좌로 돌리고 우로 돌리고 그러면 시력이 좋아질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안과의사가 썼다는 말에 생각이 조금 바뀌었습니다. 혹시 최근 들어 뭔가
새로운
내용이 추가됐을지도 모르니까요.하지만 내용을 훑어보니 딱히 그런 건 보이지 않았습니다. 페퍼드 박사가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 회사로 돌아와서 검색해 봤습니다.인터넷 교보문고의 서지 정보에 따르면 이 책의 ... ...
빅 데이터와 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기술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줄이고 있습니다.대량의 데이터로 통계를 내는 데는 ‘열 별 저장’ 방법이 유리하지만,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삭제할 때는 ‘행 별 저장’이 더 유리합니다. 두 방식을 적절히 조화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개발한 것이 바로 하나(HANA)입니다. 최근에는 어플리케이션과 ... ...
어린이 장난감 발명가, ‘애더리 시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얼마나 재미있는지 알았습니다.”세계적인 장난감 발명가 ‘애더리 시러라’가 만든
새로운
장난감 테스트가 모두 끝났다. 모두 몸을 아끼지 않고 테스트를 해 준 썰렁홈즈 덕분이었다.“가…. 감사합니다. 이제 아이들에게 나눠 주면….”썰렁홈즈가 아이들에게 장난감을 나눠 주려는 순간 깜짝 ... ...
풀 뜯는 호랑이? 담배 문 참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살균 작용이 있는 식물을 이용하지요.동물도 참 다양한 방법으로 몸을 보호하는군요.
새로운
사실을 알았습니다. 마지막으로 하시고 싶은 말씀은?생태계를 사람 마음대로 바꾸면 동물의 치유 능력도 사라진다는 사실을 알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호랑이가 사는 지역의 독초를 없애버리면 저희들은 ... ...
[해외취재]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모였다!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수학과 아무 관련이 없는 두 사람이 엔스헤더에 브릿지학회를 유치한 이유는 이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싶어서다.엔스헤더는 원래 섬유산업이 발달한 지역이었다. 하지만 값싸게 옷을 만들 수 있는 중국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공장이 이동하면서 도시가 침체에 빠졌다. 게다가 엎친 데 ... ...
신화의 세계를 구하라! 퍼시 잭슨과 괴물의 바다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침착하게 바로 앞 갈림길로 간 다음 반대편으로 가는 것이 문제 해결의 열쇠다.그리고
새로운
갈림길에 도착할 때마다 앞의 길이 막혀 있진 않은지 살펴보고, 막다른 길을 향해 가고 있다는 판단이 들면 길에 표시를 하고 주저없이 되돌아가야 한다. 만약 양쪽 갈림길 모두 표시가 돼 있다면, 그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