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분화는 대규모 폭발이었지만 지질학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화산재의 영향을 직접 받는 백두산 동부지역과 일본 북부 지역에 사람이 별로 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는 다르다. 2차, 3차 피해가 큰 문제가 될 수 있다.2010년 4월 폭발한 아이슬란드 에이야프얄라요쿨 화산은 2차 ... ...
- 독자여러분을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로 초대합니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마련돼 있어, 스노클링과 다이빙을 즐기면서 바다에 뿌리내린 맹그로브 숲과 산호를 직접 볼 수 있다.체험 내용은 과학동아에 기사로 실린다. 해양탐사기사를 포트폴리오로도 활용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다. 과학특별시(cafe.naver.com/dsciencecity)에 공개되는 미션에 참가하면 무료 열대해양체험 기회를 ... ...
- 3000℃에서 녹아내린 아이언맨의 새 슈트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것은 사실상 어렵다.정확히 신호를 포착할 수 있는 침습식도 문제는 있다. 뇌세포에 직접 전극을 꽂기 때문에 감염이 우려된다. 물론 가슴에 ‘아크 원자로’를 달고 살아가는 사나이에게 전극 따위는 별 일 아닐지도 모르지만.토니가 악몽을 꿀 때 슈트가 구하러 달려오는 장면은 어떨까. 충분히 ... ...
- ➏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디테일이 매력적인 건물이에요. 외부와는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건축가가 가구까지 직접 디자인해서 좁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했어요. 심지어 창문을 열고 닫는 동선까지 고려해 가구를 설계했지요.건축학 전공을 하려면 그림 실력이 좀 있어야 해요. 자신이 생각하는 걸 표현할 수단이 있어야 ... ...
- 우리는 창의력 대장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성장했다. 최태숙 선생님은 “학생들 스스로 활동하다 보니 과학을 매개로 다른 사람과 직접 소통할 일이 많다”며 “어려움을 원만하게 해결하는 과정에서 인격도 성장한다”고 말했다. 한산울 학생도 “과학을 좋아하는 친구들과 함께하는 것이 동아리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그 말처럼 ... ...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선긋기 곱셈은 숫자를 거의 쓰지 않고도 곱셈이 가능합니다. 못 믿는 눈치군요. 그럼 직접 보실래요?선만 잘 그으면 곱셈이 된다?! 과정 ❶ 25×13을 하려면 우선, 십의 자리 수인 2를 나타내기 위해 선 2개를 인접해서 긋는다. 그런 다음, 2개의 선과 약간 떨어진 곳에 선 5개를 다시 인접해서 긋는다 ... ...
- [독자탐방]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 컴퓨터, 화가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공개하지 못하고 계신다고 했다. 애플리케이션이 출시되면 꼭 내려받아서 변분미술을 직접 해 보고 싶다.아름다움의 규칙성오하은(경기 성남 내정중 2학년)‘Optimal is Beautiful!’ 최적화 된 것은 아름답다.이 말은 자동 최적 설계, 즉 위상 최적 설계를 한 마디로 표현한 것이다. 사실 컴퓨터로 그린 ...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올 수 없었을 걸요? 온 가족에게 도움을 주려고 제가 얼마나 노력했는데요.그건 내가 직접 물어보지. 가이가 우리가 소풍을 마치는 데 도움이 됐다고 생각하는 사람, 손들어 봐! 엥? 모두 다?거봐요, 그루그! 제가 큰 도움이 될 거라 그랬죠? 저 이제 이프랑 진지하게 만나는 거 허락하시는 거죠 ... ...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자동차 문을 여닫는 소리는 밥통을 이용하고, 눈 밟는 소리는 녹말가루를 이용한다(직접 해보시라!). 물이 부딪히는 파도 소리는 콩을 흔들어서 낸다. ‘뽀샵질’처럼 컴퓨터 보정은 기본이다. 이런 가짜 소리가 진짜보다 더 ‘리얼’하다. 과연 영화 속에서 들리는 소리는 얼마나 진짜일까. 사운드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인기가 좋아서 시리즈까지 냈다. 독창적인 과학 교양서도 냈는데, 그 안의 삽화도 직접 그렸다. 국내에도 번역돼 있는데(‘1, 2, 3 그리고 무한’), 그림 수준이 상당하다.가모프는 약간 사무라이 같은 기질도 있어서 다른 학자들과 싸움도 잘 했다. 특히 호일을 비판하는 데 그 기질을 발휘했다. 그는 ... ...
이전386387388389390391392393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