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153건 검색되었습니다.
심해 미생물, 햇빛 없이 살아남는 이유는 '수소'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수소라는 사실을 확인한 연구결과를 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에
발표
했다. 육지 미생물은 대기 중 수소를 섭취하며 살아간다. 앞서 학계는 해양 미생물 또한 수소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고 추정했지만 실제로 수소를 소비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심해 ... ...
'사상자 1000여 명' 튀르키예 지진…"아나톨리안 단층대가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국경에 인접한 남부 7개 지방에서 최소 76명이 사망하고 440명의 부상자가 나왔다고
발표
했다. 시리아 측 사망자는 100명에 육박한다. 스푸트니크 통신은 시리아 당국을 인용해 현재까지 시리아에서 99명이 숨지고, 330여 명이 부상당했다고 밝혔다. 이번 지진으로 주요 도시에서 수십 채의 아파트가 ... ...
겹쳐서 빠르게 이동하는 적혈구 확인...영상 복원 AI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계 지능' 1월 17일(현지시간)자에
발표
됐다. 연구팀은 영상을 얻을 때 생기는 변수 대부분이 물리 법칙을 통해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물리 법칙과 심층신경망이 통합된 AI 학습 기법을 제시했다. 모든 영상 기술은 영상 기기를 ... ...
"착용하면 눈앞에 내비게이션"…AR 스마트 콘택트렌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1월호에 표지논문으로
발표
됐다. 크고 무거울 뿐 아니라 가격이 비싼 기존 AR 기기와 달리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사람 눈에 일반적인 렌즈처럼 착용해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하다. 최근 구글 등에서 AR 구현 디스플레이 용도로 스마트 ... ...
백신·모니터링·모델링...코로나19가 남긴 과학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사이먼 코세메즈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 연구원은 2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
한 칼럼을 통해 “코로나19 사태에서 알 수 있었듯이 수학적 예측 모델은 감염병 국면의 중요한 변곡점을 예상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수학 모델은 단기 및 중장기 확진자 증감세를 예측하고 ... ...
폭력 노출 잦은 국가에 살면 수명 최대 14년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3.02.05
다하지 못하고 죽을 확률이 커진다. 연구팀은 162개국의 사망률 데이터를 2008~2017년
발표
된 내부 평화 지수(IPI)와 비교해 분석한 결과 폭력에 노출되는 환경이 많은 국가(폭력적인 국가)일수록 국민들의 기대수명이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가장 평화로운 국가와 가장 폭력적인 국가 ... ...
WHO "1월 M두창 사망자 9명·신규 확진 716건"
동아사이언스
l
2023.02.05
세계보건기구(WHO)가 1월 한달간 M두창으로 9명이 사망했고 신규 감염자는 716명 늘었다고
발표
했다. 사망자는 모두 미주 지역에서 나왔다. WHO는 이날 M두창 현황 보고서를 통해 1월 1~30일 사이 세계 110개국 중 M두창 신규감염 사례가 716건, 사망자 9건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신규 사망자는 미국 5명, ... ...
'유전자교정 아기' 논란 中 과학자, 황우석 전철 밟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2.05
허 전 교수는 2018년 11월 세계 최초로 유전자 교정 쌍둥이 아기가 탄생했다고
발표
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 그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9)'로 인간 배아의 유전자를 교정했다.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에이즈·AIDS)를 유발하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가 세포에 침투하기 위해 사용하는 ... ...
코로나 확진 1만4018명…일요일
발표
기준 31주 만에 최저
동아사이언스
l
2023.02.05
비교하면 4853명 줄었고 2주일 전인 지난달 22일 1만6624명보다는 2606명 적었다. 일요일
발표
기준으로 지난해 6차 유행이 시작되기 전인 7월 3일 1만36명 이후 31주 만에 가장 적다. 지난달 30일부터 이날까지 1주일간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7416명→1만9629명→2만420명→1만6862명→1만4961명→1만4624명→ ... ...
우주식량·인공장기 만드는 3D프린터...우주 개척에 날개 단다
과학동아
l
2023.02.04
오히려 미세중력 환경이 3D 프린터로 더 길고 얇은 물체를 인쇄하기에 좋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했다. ISS에서 주로 사용하는 FFF 3D 프린팅 방식(FDM 방식과 동일)은 미세중력에서 잘 작동하고, 우주비행사들이 사용하기 안전하며 ISS의 전력 조건, 부피 및 질량 제약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다만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