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기
실례
견본
예제
사례
예시
용례
뉴스
"
예
"(으)로 총 4,149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천문학, 한국 영향 많이 받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0
“1998년 고분에 카메라를 넣어 관찰했을 때 위도가 38.4도로 나와 지금의 평양일 것으로
예
상했지만 2004년 다시 촬영해 보니 37.4도로 측정돼 서울일 가능성도 높아졌다”며 “중요한 것은 한반도에서 본 밤하늘임에는 틀림없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국보 제228호인 '천상열차분야지도' - ... ...
영화 속 로봇 실제로도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06
로봇기술이 어떤 식으로 발전해야 할지를 영화 속 미래 로봇 기술과 비교하면서 알아볼
예
정이다. 이에 앞서 정은경 대전 도마초 교사는 ‘동글동글! 지구 속을 몰래 볼까?’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을 8일 오후 6시 30분부터 △서울 ... ...
[꿈틀꿈틀 신나는 진로]손에 기름 묻히는 3D 분야? 융합적 사고 필요한 미래산업!
동아일보
l
2013.11.05
실제로 전국기능대회 수상자들조차 처음에는 이해할 수 없는 기초적인 실수를 한다.
예
를 들어 엔진의 드레인 플러그(엔진오일 배출구)를 느슨하게 조여 엔진오일이 샌다거나 오일필터를 제대로 끼우지 못해 자동차 운행 중 오일필터가 떨어져 나가는 일들도 생기는 것. 윤 기능장은 “요즘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그러나 그 뒤 연구는 이 대응이 그렇게 간단한 게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예
를 들어 키를 결정하는 유전자만 해도 수 백 개가 관여할 것으로 보이고 이 가운데 가장 영향력이 큰 유전자조차 기여도가 0.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지능 역시 복잡한 특성으로 유전자 수백 개가 ... ...
세계적인 CEO들의 공통점은 OO?
수학동아
l
2013.10.30
카이스트 산업및시스템공학과 장영재 교수와 함께 ‘수학동아 레고 카페’를 진행할
예
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수학동아 12월호와 수학동아 홈페이지(math.dongascience.com)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유럽이 한국 과학기술 현실에 말을 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7
묶여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의료IT 융합 기술로는 캡슐형 내시경 등이 대표적인
예
다. 프랑스혁명에서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 우리나라는 급격히 빠른 민주화와 근대화, 산업화를 겪으면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고 이해관계 및 갈등을 조정하는 사회적 능력을 아직 ... ...
현대과학이 밝혀낸 선덕여왕의 착각
동아사이언스
l
2013.10.27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마사 바이스(Martha Weiss) 박사는 란타나(Lantana Camara Linn)라는 열대 식물의 꽃 색깔은 맨 처음 노란색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 박사의 도움을 받아 세계문화유산 속에 숨어 있는 과학지식과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선보일
예
정이니,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화보]제10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 영광의 수상작들은?
과학동아
l
2013.10.25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가면 세계적인 건축가 가우디의 독창적이고 아름다운 건물을 많이 볼 수 있다. 특히 저층 아파트인 ‘카사바트요’는 ... 현미경 사진을 다른 물건과 합성하는 것은 지금까지 승인하지 않았으나 이 작품은 워낙
예
술성이 돋보여 심사위원 협의로 특별상에 선정됐다 ... ...
태블릿 춘추전국시대… 승자는?
동아일보
l
2013.10.24
[관련 뉴스] - 애플, 새 운영체제 ‘매버릭스’ 무료 배포… MS 윈도와 PC시장 점유율 격전
예
고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책의 향기]‘제 눈에 안경’은 뇌의 장난입니다
동아일보
l
2013.10.24
놀라운 발전으로, 원할 때마다 쾌감을 느끼게 해 주는 기기를 상상하는 학자도 있다.
예
를 들어 야구모자처럼 생긴 장치를 머리에 쓰면 언제 어디서든 오르가슴을 느끼되 중독에는 빠지지 않게 조절하는 식이다. 그런 세상은 천국일까? 저자의 질문이 생각거리를 던져 준다. “모든 종류의 쾌감을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