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뉴스
"
핵심
"(으)로 총 6,46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짜게 먹으면 치매 걸릴 위험성 높다
2019.11.12
걸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유전의 측면을 보면 치매 발병 위험성에 관여하는 또 다른
핵심
유전자가 있을지도 모른다. 따라서 이런 유전자와 관련 변이를 찾는 연구가 진행돼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환경 요인을 살펴보자. 수년 전 미세먼지가 치매를 일으킨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 ...
"서민 타는 생계형 경유트럭, 깨끗한 하이브리드차로 개조가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이어 “그런 면에서 우리에게 기회가 있다”며 “한국은 통신과 자동차 강국일 뿐더러
핵심
기술을 모아다 시스템을 만드는 것도 특징적으로 잘하기 때문에 큰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보행자 인식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볼라드 시스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이 시스템은 보행자나 차량을 센서로 인식해 볼라드의 높이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핵심
이다. 메카트로닉스융합기술그룹 김영진 수석연구원은 볼라드 시스템의 눈이 될 센서 개발을 맡았고 ㈜대연씨앤아이는 볼라드에 전력을 공급할 태양광 발전과 볼라드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관제시스템 ... ...
서울대 공대, SK텔레콤과 기술협력 위한 업무 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11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서울대는 SK텔레콤과 기술협력을 통해 보유한 기술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사업 전반에 걸친 협력과 제휴의 기본적인 방향과 주요 내용을 정했다. 두 기관은 향후 SK텔레콤의 선별 기술에 서울대 SNU공학컨설팅센터가 연구 인력을 매칭하는 기술 스카우트, 양 기관이 ... ...
AI로 차량 대화형서비스 과몰입 사고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AI)을 이용해 날씨나 뉴스를 제공하는 ‘차량 대화형 서비스’는 편의와 안전이
핵심
이다. 운전중에 대화형 서비스에 집중하면 전방 주시를 소홀히 하거나 주변 상황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KAIST는 이의진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차량용 AI가 운전자에게 어느 ... ...
수명 늘고 안전성 확보한 ‘리튬 황 전지’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리튬-황 전지의 고질적 문제인 전지 수명 감소를 해결한 ‘이중층 고분자 전해질’이
핵심
기술이다. 리튬-황 전지는 리튬을 음극재로, 황을 양극재로 사용하는 전지다. 상용화된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약 5배 이상 높지만 충방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황화합물이 전지의 성능을 ... ...
‘깊은 잠’이 보약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서파수면의 비율이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하는 뇌 속 대사성 폐기물을 씻어내는 데
핵심
적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31일자에 내놨다. 그간 수면이 부족하면 알츠하이머 치매에 걸릴 확률이 올라간다는 연구들은 많이 나왔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연관이 있는지는 ... ...
"면역항암제 CAR-T 가능성 무궁무진. 3년내 게임체인저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만들면 이후엔 분자 구조를 바꾸는 자유가 없다”며 “반면 CAR-T는 유전자 형질 변형이
핵심
기술로 다양한 유전자를 도입해 수많은 항원에 반응하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여러 도전과제가 있지만 탐색할 수 있는 게 무궁무진하다”며 “향후 3년 내 획기적인 혁신이 나올 것으로 본다”고 ... ...
첨가물 바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내구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수 있다. 실리콘 태양전지의 뒤를 이을 차세대 태양전지 후보로 꼽힌다. 태양전지의
핵심
은 태양광을 직접 흡수해 전자를 생산하는 광활성층이다. 이 부분이 얼마나 튼튼하고 안정적인지, 또 빛을 전기로 바꾸는 광전 효율이 얼마나 높은지가 상용화의 관건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기구한 역사
2019.11.07
대한 철학적 성찰이 놓여있는지 모른다. 기초과학을 한국적으로 정착시키는 방식, 그
핵심
엔 노벨상도 아니고 경제발전도 아닌, 과학을 묵묵히 수행해 나가는 보통과학자들에 대한 재발견이 기다리고 있다. 한국의 기초과학은 보통과학자에 대한 성찰을 통해 새롭게 태어날 수 있고, 또 그래야만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