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7,30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1. 전파망원경으로 한반도 지각변동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604
수십배나 높은 분해능으로 우주의 신비를 밝힐 수 있다. 우주 전파는
눈
에 보이는 가시광선과 달리 기상조건이 썩 좋지 않아도 망원경에 포착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VLBI를 이용하면 먼 우주에서 태양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을 고해상도 자료로 연구할 수 있다.매우 강하게 전파를 뿜어내는 ... ...
IBM 해결사 출두요~
과학동아
l
200604
컨설팅 분야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의 범위와 깊이가 한층 커졌다.- 과학자들에게
눈
에 띄는 변화가 있는가?과학자들이 고객을 만족시키는데 주력하게 됐다. 연구 책임을 맡은 과학자의 경우 하루에 고객을 만나는 횟수가 4~5회 정도 된다. 더 이상 연구자의 특허나 논문만 평가하지 않는다. 연구자가 ... ...
사람 냄새 풍기는 디지털 액터
과학동아
l
200604
표정이나 신체 동작이 실제와 아주 조금이라도 다르게 움직이면 대부분의 사람은 금방
눈
치챈다. 사람의 움직임이 자유낙하하는 물체처럼 간단한 물리법칙을 따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람은 능동적으로 움직이고 복잡한 해부학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요다가 망토 입은 이유이런 어려움 ... ...
한 길 사람 속, 이제 단면으로 본다 절단영상
과학동아
l
200604
소프트웨어로 제작돼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아주대 의대 맨
눈
해부학실험실 홈페이지(www.antomy.c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속담에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말이 있다. 그런 말이 통하지 않는 곳이 바로 해부학이다. 사람 속을 더욱 자세히 ... ...
차원이 다른 과학 길잡이
과학동아
l
200604
"도대체 과학을 왜 배우는지 모르겠어요.""과학 공부가 싫어요."한국과학문화재단이 2004년 실시한 “가장 싫어하는 과목”설문조사에서 과학은 수학에 이어 ‘당당히’ 2 ... 글과 사진, 일러스트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편집 기법을 구사해 개념 원리를 한
눈
에 조망할 수 있도록 꾸몄다 ... ...
눈
속에 핀 얼음새 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
‘아도니스’라고 하는데, 신들 중의 얼짱이었던 아도니스가 죽으면서 흘렸던 피와
눈
물이 꽃이 되었다고 해서 붙였답니다. 그래서 서양의 복수초는 피의 색깔처럼 붉은색을 띠지요. 식물에게 있어서 꽃은 번식을 위한 생식기관이랍니다. 햇볕을 쬐는 시간과 온도에 따라 꽃피우는 유전자의 활동이 ... ...
한 번 영재는 영원한 영재?
과학동아
l
200604
놓친 학생들을 찾기 위해서다. 또 성남초등학교의 이정아 교사는 학교에서는 별로
눈
에 띄지 않지만 높은 논리력을 가진 학생들을 발굴해 지도했다.박 원장은 “발굴된 학생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주제에 대해서는 예리한 창의성과 강한 학습의욕을 보임으로써 지도교수들의 관심을 ... ...
발견자와 후원자, 갈릴레이와 메디치
과학동아
l
200604
편지를 보냈다. 편지에는 ‘Haec immatura a me jam frustra leguntur o. y.’(때 이르게 뭔가가 내
눈
에 띄었다)라는 말이 적혀 있었다. 이 말에는 그것이 무엇인지 아직 말할 수 없다는 뜻이 숨겨져 있다.중요한 것은 맨 마지막의 두 글자 ‘o. y.’. 라틴어 o. y.는 앞의 문장이 수수께끼라는 뜻이다. 앞 문 ...
고양이
눈
의 동공은 왜 세로로 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3
홍채의 사방에는 근육이 붙어 있어서 당기면 커지고 풀리면 작아집니다. 고양이
눈
의 홍채는 위아래 근육이 강하게 잡아당기고 있고 좌우의 근육이 느슨하여 세로가 된답니다. 물론 어두운 곳에서는 모든 근육이 강하게 잡아당겨 동그란 모양이 되지요. 세로 모양의 동공은 동그란 것보다 더 빨리 ... ...
지구를 둘러싼 거대한 자기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3
모스 부호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를 최초로 개발했지요. 그 후 자기 기록 기술은
눈
부시게 발전하여 광대한 양의 영상 정보와 디지털 정보까지 척척 저장할 수 있게 되었어요.그렇다면 자기 기록 장치의 원리는 무엇일까요? 녹음테이프나 비디오테이프, 플로피디스켓 등의 표면에는 산화철이나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