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석
해설
해명
변명
번역
이야기
브리핑
d라이브러리
"
설명
"(으)로 총 10,445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과학으로 예방하는 화재, 우리 집을 지키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 입니다.최근 제천 스포츠센터를 비롯해 밀양 종합병원까지 화재로 인한 많은 인명 피해가 있었어요. 화재가 일어나는 원인은 아주 ... 것이 있는지
설명
한다 ▶ 생활 속에서 잘못된 전기 사용 습관 때문에 화재가 일어날 수 있음을
설명
하고, 안전한 생활 습관을 ...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강한 바람이 우리나라 쪽으로 불어오면 언제든 우리나라에 황사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
했다. 이제 수학의 눈으로 기상청 예보를 유심히 살펴 보자. 딱딱하게만 보였던 지도 위의 기호와 숫자가 황사로부터 우리를 지켜 주는 방패로 보일 것이다 ... ...
[생활] 미디어아트팀, 태싯그룹 새로운 소리를 발견하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코딩하는 영상-음악장재호 교수는 그들의 작업은 오히려 음악보다 수학에 가깝다고
설명
했다.“사실 저희가 하는 모든 작업이 다 수학이에요. 소리는 물리적인 현상이고, 그 물리적인 현상을 컴퓨터로 만들어내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은 다 수학을 기반으로 하거든요. 그래서 저희가 수학을 공부하는 ... ...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않을 수 있었을까요?”조 건축사는 독자기자들의 나무 탑을 서로 비교하며 그 이유를
설명
하기 시작했다. 벽돌을 쌓을 때 벽돌과 벽돌 사이에 일종의 접착제처럼 반죽을 채워 붙인다. 이렇게 틈을 채우면서 생긴 선을 ‘줄눈’이라고 한다. 벽돌을 일렬로 쌓으면 줄눈이 격자처럼 생긴다. 이를 ‘통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출신인 신상훈 톡킹스피치 대표는 거짓말 못하는 사람이 인기 없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
했다. “아이가 길에서 생떼를 써요. 엄마가 말하죠. ‘너 자꾸 떼쓰면 저기 경찰아저씨가 잡아간다.’ 아기가 경찰을 보고 겁을 먹어요. 그런데 경찰이 이렇게 말해요. ‘저기, 저희는 그렇게 사람 함부로 잡지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위험한 선사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덫과 함정을 궁리해내야 했다”고
설명
한다. 그 과정에서 속이는 능력이 늘었다는 말이다.인간은 무리 규모도 유난히 컸다. 로빈 던바 교수는 “신피질 크기로 봤을 때 현생인류의 무리 규모는 150명”이라고 주장한다. 복잡한 사회관계망을 ... ...
[과학뉴스] 망둥어의 혀는 ‘물’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마치 혀처럼 사용한다”며 “물고기가 육지에서도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진화한 과정을
설명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영국왕립학회보B’ 3월 18일자에 실렸다 ... ...
[Knowledge] 야생동물 천국에서 낯선 기생충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엄 교수는 “그런 시료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 탄자니아만의 장점”이라고
설명
했다.엄 교수팀은 탄자니아에서 여러 기생충을 수집한 결과 잘 알려지지 않았던 기생충의 진화를 새로 밝히는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2013년부터 1년 동안 박한솔 연구원을 연구소에 파견해 탄자니아사자의 ...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흔히 ‘평행선 공리’라고 부르는 다섯 번째 공리였다. 굉장히 긴 문장인데, 쉽게
설명
하면 이렇다. “주어진 직선에 놓여 있지 않은 한 점을 지나며 그 직선과 평행한 직선은 단 하나다.” 유독 긴 문장이라, 공리가 아닌 정리인 것 같다는 의심이 든다. 많은 수학자들이 이 평행선 공리를 다른 네 ... ...
[Knowledge] 건축물 진단하는 ‘문화재 의원’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않으니까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오래 관찰하지 않으면 알아채기 힘들어요.”
설명
을 들어보니 이렇습니다. 목조 문화재나 석재 문화재는 원래 ‘계절’을 탑니다. 목조의 경우 계절에 따라 부재가 수축하거나 팽창하기 때문에 전체 건축물이 조금씩 움직일 수 있습니다. 또 다 지은 건축물은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