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지금의 상황에 맞춰 계산해 보면 800만 명 정도가 본 셈이에요. 빨간 줄이 그어진 상영시간표가 보이죠? 인기가 많아 매진되었다는 표시예요.”'미러타워’의 큰 거울 뒤에는 거대한 ‘마스터 태권브이’가 우뚝 서 있었어요.“이렇게 큰 로봇은 태어나서 처음 봐요!”기자단 친구들이 탄성을 ... ...
- [Issue] 음식과 약 사이 위험한 ‘케미’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등으로 약을 장기적으로 복용하고 있다면 자몽주스를 피하라”면서 “약을 먹은 지 2시간쯤 뒤에 약 200mL정도 가끔 마시는 것은 괜찮다”고 조언했다.2. 술과 커피는 약에게 백해무익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발간한 안내서를 보면 공통적으로 거의 모든 약과 ‘나쁜 케미’를 일으키는 음식이 있다.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구체적으로 계획한 것이 아닌데도 막연한 그 말만으로 가슴이 뛰었다.그날 수업 시간표는 문학, 수학, 영어, 화학 등이었지만 나는 ‘관동별곡’이나 2차 도함수의 그래프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고, 오직 그녀에게 말한다는 그 생각만 했다. 생각할수록 생각은 커져서 떨치기 힘들었다. ... ...
- 앱 만드는 선생님 나훈희 교사수학동아 l2017년 04호
- VR(가상현실)기술을 이용해 쌓기나무 앱을 개발 중이다. 다만 학교 업무 때문에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쉽다고 전했다.나훈희 교사가 만든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수학 수업을 하고 있는 학생들. “앱을 활용해서 배우면 좋겠다고 생각한 부분은 전부 만든 것 같아요. 그런데 업데이트도 해야 하고 ...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곱셈을 설명할 수 있으며, ➌어떤 명제를 입력받았을 때 공리★인지 아닌지를 유한 시간 안에 알아볼 수 있는 시스템이 논리적으로 잘 짜인 시스템이라고 가정했다. 그러나 불완전성의 정리는 이 시스템이 자연수에 관한 모든 명제의 참거짓을 결정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현대 수학계는 괴델이 ... ...
- [과학뉴스] 봄비가 박테리아 퍼뜨린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빗방울 하나는 접촉한 토양 표면의 박테리아 0.01%를 옮겼으며, 운반된 박테리아는 한 시간 이상 살아남았다.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에어로졸과 결합한 미생물은 기후 변화, 질병 전파, 수질·토양 오염 등 미생물의 지리적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 ...
- [Future] 기억의 우주에서 불멸이 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없게 된다. 알츠하이머 치매에 걸려도 해마가 위축되는 경우가 많다. 치매 환자들이 몇 시간 전에 있었던 일들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이유다. 더구나 해마는 다른 뇌 부위에 비해 구조가 단순해서 쉽게 해마를 모방한 마이크로 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대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신피질은 6개의 층으로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NSF)에서 권장하고 있는 수면 시간은 14~17세는 8~10시간, 18~64세는 7~9시간이다. 수면 시간이 부족하지 않은데도 눈꺼풀이 무거운가. 당신의 밤을 달콤한 꿀잠으로 채우기 위해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규칙적인 생활을 시작할 때다.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
- [Culture] ‘23아이덴티티’ 속 다중인격장애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한 인격에서 다른 인격이 되는데 몇 초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이런 특성을 이용해 많은 범죄자가 자신을 해리성 정체감 장애라고 주장하며 처벌을 피하려고 시도했다. 실제로 지금까지 발견된 해리성 정체감 장애 환자 대부분이 법을 벗어난 행동을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적외선, 다중분광, 3D 등 5가지 종류의 특징을 가진 카메라로 식물의 생장과정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촬영해 얻은 이미지를 데이터화한다. 임교수는 “사람 몸의 내부 상태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진단하는 것처럼, 식물에 상처를 내지 않고 내부의 생리적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이라며 “진단 ... ...
이전3873883893903913923933943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