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활동을 관찰하는 것도 불가능할 지경이었다.그래서 진지하게 실험을 해보기로 했다. 이
연구원
처럼 까치 둥지에 여러 번 올라가 알이나 새끼를 꺼냈던 일을 한 사람과, 한 번도 까치의 번식성공도 조사에 참여한 적이 없는 학생을 짝 지은 뒤 둘에게 똑같은 옷을 입혔다. 그리고는 둘을 까치가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개발한다는 말에 20여 년의 미국 생활을 접고 바로 귀국했다. 며칠 앞서 열린 기초과학
연구원
학술대회에서 처음 만났는데, 가속기의 개발 현황을 조용하면서도 자신감 넘치는 목소리로 발표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가속기의 ‘시작과 끝’이라고 할 수 있는 빔 발생장치(ECR 이온원)의 초전도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1976년 구 소련의 무인탐사선 루나24호 이후 37년 만에 처음이다. 류동영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달탐사기술팀장은 “달 착륙이라는 어려운 기술을 성공시켜 세계가 중국의 과학기술 능력에 대해 놀라움을 표하고 있다”며, “중국의 성공적인 달 탐사 뒤에는 일관되게 달 탐사를 추진한 국가 정책과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최근 논문을 게재한 한중탁 한국전기
연구원
책임
연구원
은 “네이처의 다양한 자매지 창간으로 과학자들의 접근성이 좋아진 것은 사실”이라며 “최근 우리나라 과학자들의 자매지 논문 게재도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각 ...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해주는 기술이지요. SF라고요? 이미 인공촉각 시대가 성큼 다가왔습니다.한국표준과학
연구원
박연규 박사팀은 가상현실의 느낌을 실제처럼 재현하는 ‘촉각마우스’를 개발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화면에 나타나는 호수에 마우스 커서를 갖다 대면 호수의 차갑고 출렁거리는 수면을 마우스를 통해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이용할 수 있다면 우주인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 연구팀은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KARI),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과 함께 2016년에 국제우주정거장/일본모듈(ISS/JEM)에서 근육위축 억제 실험을 할 계획이다.겨울잠 중 각성은 병균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역할도 한다. 동물의 몸에 병원체가 ... ...
일본 로봇, 허세 떤 미국 로봇을 꺾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전문가로 KAIST팀 멤버로 합류한 김정엽 서울산업대 교수(전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
연구원
)는 “일본 로봇이 걷는 모습을 살펴보면 사람이 개발한 거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며 “기본인 걸음걸이가 안정돼 있으니 모든 미션을 손쉽게 해치우는 것 같다”고 말했다.로봇 에스원은 세계최고 ... ...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정보를 내려받아 위치를 찾거나 필요한 파일을 내려받을 수 있다. 강태규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LED통신연구실장은 “자동차나 항공기의 안전운행을 돕고 시각장애인을 돕는 등 가시광통신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현재 시각장애인이 위치를 인식하려면 손으로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매우 가볍다. 액시온 검출을 위해 지난해 10월 한국에 온 야니스 세메르치디스 기초과학
연구원
(IBS) 액시온및극한상호작용연구단장은 “질량이 1~1000μeV 사이일 것”이라고 말했다. 표준모형에서 가장 가벼운 입자인 전자중성미자(2.2eV)보다 2000~200만 분의 1 가벼운 수준이다.문제는 입자의 세계에서는 ... ...
사이언스가 선정한 2013년 10대 연구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않았다.한국인 과학자가 이끈 연구도 눈에 띈다. 바로 정광훈 미국 스탠퍼드대 박사후
연구원
이 주도한 ‘뇌를 투명하게 보는 기술’. 연구진은 생쥐의 뇌에서 지질 성분을 제거해 뇌의 구조 신경세포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이번에 선정된 과학 뉴스에는 생명과학 분야가 많았다.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