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활동을 관찰하는 것도 불가능할 지경이었다.그래서 진지하게 실험을 해보기로 했다. 이
연구원
처럼 까치 둥지에 여러 번 올라가 알이나 새끼를 꺼냈던 일을 한 사람과, 한 번도 까치의 번식성공도 조사에 참여한 적이 없는 학생을 짝 지은 뒤 둘에게 똑같은 옷을 입혔다. 그리고는 둘을 까치가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매우 가볍다. 액시온 검출을 위해 지난해 10월 한국에 온 야니스 세메르치디스 기초과학
연구원
(IBS) 액시온및극한상호작용연구단장은 “질량이 1~1000μeV 사이일 것”이라고 말했다. 표준모형에서 가장 가벼운 입자인 전자중성미자(2.2eV)보다 2000~200만 분의 1 가벼운 수준이다.문제는 입자의 세계에서는 ... ...
사이언스가 선정한 2013년 10대 연구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않았다.한국인 과학자가 이끈 연구도 눈에 띈다. 바로 정광훈 미국 스탠퍼드대 박사후
연구원
이 주도한 ‘뇌를 투명하게 보는 기술’. 연구진은 생쥐의 뇌에서 지질 성분을 제거해 뇌의 구조 신경세포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이번에 선정된 과학 뉴스에는 생명과학 분야가 많았다. ... ...
차세대 ‘레이저’ 입자가속기, 한국이 주도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거대강입자가속기(LHC)를 이용해 발견한 ‘신의 입자’ 힉스가 노벨상을 받으면서 ‘입자가속기’도 덩달아 주목받고 있다(특집 3파트 참조). 현재의 입자가속기 ... 차이로 아직 중이온 가속은 불가능한 게 흠이다. 이 연구 결과는 11월 27일 기초과학
연구원
(IBS) 연구 컨퍼런스에서 발표됐다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최근 논문을 게재한 한중탁 한국전기
연구원
책임
연구원
은 “네이처의 다양한 자매지 창간으로 과학자들의 접근성이 좋아진 것은 사실”이라며 “최근 우리나라 과학자들의 자매지 논문 게재도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각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이용할 수 있다면 우주인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 연구팀은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KARI),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과 함께 2016년에 국제우주정거장/일본모듈(ISS/JEM)에서 근육위축 억제 실험을 할 계획이다.겨울잠 중 각성은 병균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역할도 한다. 동물의 몸에 병원체가 ... ...
사진 두 장으로 10초 만에 3D 캐릭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ETRI) 영상콘텐츠연구부장팀은 사진 두 장만으로도 3차원(3D)영상을 만들어 내는 ‘다시점 영상기반 3D 얼굴복원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월 11일 밝혔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치과나 성형외과 등 의료 현장에서는 수술 전후 모습을 비교해 볼 수 있고, 게임이나 영화 등 문화산업 ... ...
일본 로봇, 허세 떤 미국 로봇을 꺾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전문가로 KAIST팀 멤버로 합류한 김정엽 서울산업대 교수(전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
연구원
)는 “일본 로봇이 걷는 모습을 살펴보면 사람이 개발한 거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며 “기본인 걸음걸이가 안정돼 있으니 모든 미션을 손쉽게 해치우는 것 같다”고 말했다.로봇 에스원은 세계최고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깨는 연구였다. 1982년 이스라엘 테크니온공대 다니엘 셰프트먼 교수(당시에는 방문
연구원
)가 준결정이 있다고 처음 주장했을 때 학계에서는 그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연구실에서 쫓아내기까지 했다. 그러나 결국 그는 준결정의 존재를 입증해냈고, 금속재료 분야에서 최초로 노벨 화학상을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개발한다는 말에 20여 년의 미국 생활을 접고 바로 귀국했다. 며칠 앞서 열린 기초과학
연구원
학술대회에서 처음 만났는데, 가속기의 개발 현황을 조용하면서도 자신감 넘치는 목소리로 발표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가속기의 ‘시작과 끝’이라고 할 수 있는 빔 발생장치(ECR 이온원)의 초전도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