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주의 사막 한가운데서 별빛으로 샤워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건조한 탓에 구름조차 없어 파란 하늘은 깊은 바다를 연상시켰다. 문득 ‘저 바다 너머에
우주
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조금 더 달려 오아시스 같은 작은 마을 아이반호에 도착했다. 주유소에서 운영하는 허름한 숙소에 짐을 풀고 날이 저물기 전에 촬영 준비를 했다.한참 망원경 설치에 여념이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전투기 조종사로서 625전쟁에 종군했고, 그 후 각종 항공기의 시험비행을 한 후 NASA의
우주
비행사로 선발되었다 요(尿)속의 당(糖)을 정성적(定性的)으로 조사하는 방법 요단백질(尿蛋白質)이 많으면 황화비스무트가 생성되어 양성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미리 제단백법(除蛋白法)을 시행한 후 이 ... ...
폭설과 혹한에서 전원 살아 귀환하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생각을 했다. 올해 유인
우주
개발역사에 첫발을 내딛는 우리나라가 이곳 부럽지 않은
우주
센터를 가질 날을 기대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멘토링은 나의 힘1. 역사 속 '마리 퀴리'를 찾아 2. 기업의 또 다른 힘 멘토링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4. 여성 파워엘리트 인큐베이터 wise 폭설과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천문학의 한 분야 선은 전자기파(電磁氣波)의 일종이며 하전입자(荷電粒子)와 달라
우주
자기장에 의해 휘어지지도 않으며 또한 투과성(透過性)이 좋아 직접 발생원의 방향을 알 수 있다 우라늄 합금의 하나 실온 안팎에서 안정된 금속 우라늄의 상(相)은 α라는 사방정형(斜方晶形)이며 이것은 그 ... ...
남극 녹아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우주
저쪽에서 오는 고에너지 X선을 관측하여 그 방사원(放射源)인 천체를 조사하는
우주
천문대(宇宙天文臺)이다블랙홀·펄서·퀘이서 등 수수께끼의 정체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냉각재로 기체를 사용하는 원자로 중에서 특히 헬륨가스를 사용하고 노(爐)의 출구온도가 1,000℃ 전후가 되는 노형 ... ...
별빛보호지구에 남은 시간의 기록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아닐까. 마치 외국의 어느 낯선 장소에 가면 느껴지는 이국적인 아름다움과 비슷하다. 먼
우주
의 은하나 성운, 그리고 별의 모습을 담은 사진에서도 비슷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낯섦을 강조하기 위해 평소에 보기 힘든 천체를 사진에 담아보려는 욕심이 생기는 것은 천체사진을 찍는 사람에게는 ... ...
ISS 과학실험 최종 리허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 “카메라 앞에 붙은 작은 거울을 보고 얼굴을 돌리세요.”“이 망에 얼굴을 가까이 붙이나요?”“네. 코가 닿을 동 말 동 붙이고, 사 ... 본 뒤 3월 말 발사장이 있는 바이코누르 기지로 옮겨 컨디션을 조절한다.
우주
에서 10일을 보내기 위한 2년 동안의 준비가 이제 2개월밖에 남지 않았다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태양계 기원설 태양 부근의 기체의 난류를 수학적으로 해석하고 그 소용돌이에 의해
우주
진(宇宙塵)이 응집해서 행성(行星)이 형성된다는 설이다 정자의 첨체(尖體)에 함유된 물질 정자 리신이라고도 한다수정(受精) 과정에서 1개의 정자는 알 표면에 밀착된 보호층(난황막), 또는 알 표면에서 떨어진 ... ...
우주
인과의 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찾고, 그 꿈을 간직하라는
우주
인의 말을 우리 모두 가슴에 새겨 두도록 해요. 그리고
우주
인이 무사히 임무를 마치고 돌아올 수 있도록 함께 응원합시다. 진짜 기자 명예기자의 활약을 앞으로도 기대해 주세요~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매번 지구에서 1만6000km 떨어진 곳을 지나게 해야 한다는 점이 큰 부담이다. 이 거리는
우주
차원에서 본다면 굉장히 간발의 차이라 자칫 실수하면 거대한 소행성이 지구를 강타해 인류가 멸망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아니면 인류가 수억 년 뒤 과학기술을 눈부시게 발전시켜 지구를 떠나 다른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