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세이빙 산타 산타의 썰매를 지켜라!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있는 사람한테는 공이 지그재그 형태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마찬가지로 달리는 썰매 위의 산타가 보기에 공이 바닥으로 1m 떨어졌다고 하자. 이때, 서 있는 어린이가 보기에는 공이 비스듬하게 떨어지면서 1m보다 긴 거리를 움직인 것과 같게 된다. 자, 이제부터는 매우 간단한 수학을 하면 된다. ... ...
- 미래의 선택, 통계로 결정한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세 번 나오기도 하죠. 물론 주사위를 10000번 정도 던져 본다면 이야기는 달라져요. 주사위 눈이 1을 가리킬 확률이 $\frac{1}{6}$에 가까워지거든요. 즉 한두 번은 우연히 행운을 거머쥘 수 있지만, 매번 운에 맡길 수는 없다는 거죠. 결국 준비된 자만이 기회가 왔을 때 잡을 수 있어요. 더불어 통계적 ... ...
- 수학 공식? 그림 한 장이면 OK!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홀수의 합뿐만 아니라, 자연수의 제곱의 합을 구하는 것도 그림 한 장이면 충분하다. 위의 그림은 중국의 수학자 만 긍 쉬우의 그림이다. 그림➊과 같이 피라미드와 비슷한 모양의 쌓기 나무는 $n²$의 합을 뜻한다. $n²$의 합에 해당하는 쌓기 나무 3개를 합치면 직육면체와 비슷하지만, 윗부분이 ...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수정할 때도 수학이 활용된다. 사진에 찍힌 얼굴에 난 잡티를 제거할 때, 잡티 주위 피부색의 평균을 계산해서 그에 맞게 잡티색을 수정해 주는 것이다. 또, 자르기 기능을 사용할 때는 그래프 이론이라는 수학이 쓰인다. 그밖에도 의료영상등에 수학이 활용된다는 것을 듣고, 생각보다 많은 곳에 ... ...
- 얼음 제조 전문가, ‘스치고도 이비어니’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번만 잘라서 삼각형 얼음판이 세 개가 만들어지는 사각형 얼음판은 어떤 모양일까요?”더위야, 굴러가라~!“하하하, 역시 썰렁홈즈는 대단해요!”이비어니 박사는 모든 문제를 해결한 썰렁홈즈에게 선물로 얼음을 주기로 했다. 이제 썰렁홈즈가 얼음을 가지고 돌아가기만 하면 된다. 그런데 이게 ... ...
- 마지막회 폴의 선택은?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모를 공작의 말에 폴리스가 되물었다.“폴에게 달려 있다니요? 우린 테스티를 막기 위해 열 번째 방으로 가 봐야 하는 것 아닌가요?”“아닙니다. 열 번째 방에는 이미 폴이 도착해 있습니다. 테스티와 함께 있지요.”공작은 작은 한숨을 내쉰 뒤 다시 말했다.“어쩌면 여러분의 존재가 도움이 될지도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쉽게 차단할 수 있다.한국전력연구원 김찬기 연구원은 “현재 교류 전기망은 블랙아웃의 위험 때문에 전력 예비율을 12%로 맞추고 있는데, 직류 송전이 상용화되면 전력 예비율을 10% 이하로 낮춰도 괜찮다”며 “원자력발전소 2~3개가 없어져도 괜찮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앞으로는 국경을 넘어 ... ...
- 지난 13년간 한반도 10배 면적의 숲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환경학] 지난 13년간 한반도 10배 면적의 숲이 사라졌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 속담이 있는데, 현실은 훨씬 더 극적이다. 13년이면 한반도 면적의 10배에 해당하는 숲이 통째로 ... 러시아와 브라질이 차지했고, 한국은 서울 면적의 2배가 넘는 1463km2가 사라져 중위권인 84위를 차지했다 ... ...
- [교과연계수업] 가상화폐, 비트코인이 알고 싶다고?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비트코인은 다른 가상 화폐와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 우선 가장 큰 차이는 사용 범위가 매우 넓다는 점이다. 지난 2009년에 비트코인이 등장한 이후, 세계의 수많은 상품 판매자들이 비트코인을 결재 수단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현재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아마존’과 미국의 온라인 음식 ... ...
- [Knowledge] 독수리 먹이는 몇 종류일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같다. 여기서 ‘그래프’란 kpark@hongik.ac.kr x축과 y축으로 된 함수 그래프가 아니라 위에 그려진 것처럼 점과 선으로 된 그림을 뜻한다. 이 그림에서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이동할 때 지나가는 점들을 순서대로 나 열한 것을 ‘경로’라고 부르고, 그 단계에서 지난 선의 개수를 경로의 ‘길이’라고 ... ...
이전3873883893903913923933943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