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학- 연료, '일과 열'로 에너지 변환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순수한 에너지를 계산해보자. 이를 위해 1몰의 결합을 끊는데 사용되는 결합에너지의 측정결과를 이용하자.해설우선 화학반응식을 쓴다.${CH}_{4}$+${2O}_{2}$→${CO}_{2}$+${2H}_{2}$O반응은 2단계로 진행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결합을 끊기 위해서 계가 주위로부터 흡수한 에너지(-부호)와 결합이 형성될 때 ... ...
- 헬기타고 하늘에서 지질탐사한다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진두 지휘하고 있는 구성본씨(한국자원연구소 자원탐사부 책임연구원)는 또 "자력을 측정하면 땅 속 암석의 비중과 금속류 성분의 함유정도를 알 수 있다"고 말한다.그러나 이러한 탐사작업이 결코 쉽지만은 않다. 방사능과 자력의 세기가 지표면에서 떨어질수록 약해지기 때문에 헬리콥터를 ... ...
- PART.2 게임기에서 의학용까지 무한대 활용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입체영상을 시도했다.이러한 형태의 연구는 한 행성 내의 분화구와 다른 표면의 깊이를 측정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된다. 행성표면에 대한 입체사진 촬영법 기술은 보다 생생한 지도를 그릴 수 있으며, 이는 우리가 그곳을 직접 탐험하기 전까지 표면 상태를 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하다.스폿 ... ...
- 우주 팽창·수축의 열쇠, 암흑물질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코마은하단. 이 은하단 내의 개별 은하들의 상대속도를 도플러효과를 이용한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관측되는(눈에 보이는) 모든 은하들의 중력을 합한 것 이상으로 나타난 것이다.암흑물질의 증거는 그 규모가 커질수록 더욱 뚜렷하게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태양계에서는 거의 이러한 현상이 ... ...
- 생물 - 빛·공기·물의 오묘한 조화, 광합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식물이 있는 곳의 pH는 감소한다.해설기본개념 : BTB 용액의 색깔 변화로 광합성 속도를 측정하는 능력을 평가한다.BTB용액은 산성에서 노란색, 중성에서는 초록색, 알칼리성에서는 푸른색이다. 풀이 : CO₂+H₂O→ H₂CO₃→${H}^{+}$+${HCO}_{3}^{-}$에서 광합성이 활발하게 진행되면 CO₂가 감소하게 된다. ... ...
- 1. 지구질량 318배, 수소·헬륨의 가스행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그러나 보이저 우주선에는 자외선 화상 관측 기능이 없었기에 오로라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했다 할 수 없다. 따라서 이오 궤도 플라스마가 목성 오로라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지에 대해 의문이 남았다. 국제 자외선 탐사 위성 역시 화상 관측 기능이 없어 이 문제에 도움을 주지 못했다.1988년에 ... ...
- '컴퓨터 전국 입체지도, 2001년 완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지도제작에 크게 기여했다. 우주궤도에 발사된 24개의 위성중 3개 이상을 이용해 위치측정을 할 수 있는 GPS는 이같은 GIS 대중화를 크게 자극시킬 수 있게 됐다.선진외국은 이같은 국토지리정보시스템 구축작업을 이미 오래 전에 착수해 미국은 축척 5백분의1 컴퓨터지도를 실용화하는 단계에 와 있고 ... ...
- 지평선 위의 태양이 찌그러지는 이유과학동아 l1994년 06호
- 호의 중점을 정하고 그 고도를 측정하는 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그렇지만 여러번의 측정을 통해 정확도를 높였다. 그 결과 중점의 평균 고도는 30.2도 였다. (그림1)에서 만약 OZ=OH이면 중점의 고도는 45°가 된다. 그러나 관측된 결과는 OH/OZ=2.33으로 우리 눈이 인식하는 하늘은 지평선이 천정보다 ... ...
- 물리 - 극지방, 왜 적도보다 몸무게 더 나가나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양팔저울은 질량을 다는 저울이기 때문에 적도에서나 극지방에서나 고기의 질량은 같게 측정이 된다. 만약 적도에서 양팔저울의 왼쪽에 고기를 놓고 오른쪽에 1kg짜리 추를 놓아서 평형이 됐다면 극지방에서도 역시 1kg을 놓아야 평형이 되고 달에 가도 1kg을 놓아야 평형이 된다. 달이 당기는 힘이 ... ...
- 지구과학 - 지구자기장, 대륙이동설 밝혔다과학동아 l1994년 06호
- 포토 트랜지스터를 장치해 나침반의 침이 광선을 자르는 양의 변화를 전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사진1의 그림).이와 같이 지구 자기장의 미소한 변화는 지구상에 살고 있는 생명체에 어떤 방법으로든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에 자석을 이용한 장신구 자석요 자석을 ... ...
이전3873883893903913923933943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