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76건 검색되었습니다.
난치병 ‘간질’ 치료 원리 찾았다
2015.03.24
KAIST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팀은 세브란스 병원 김동석 교수팀과 공동으로 약물로
조절
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간질)의 원인을 밝히고 새로운 유전자 치료법 역시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뇌전증은 세계적으로 5000만 명 이상에게 발생하는 뇌질환이다. 약물로는 근본적 치료가 어렵고 ... ...
엄청 강한 자석은 소리와 열을 휘어버린다?
2015.03.24
연구팀은 “이전까지 자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음향양자를 자성을 이용해
조절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했다”면서 “음향양자가 열뿐 아니라 소리를 전달하는 역할도 하는 만큼 자기장을 이용해 소리를 반사하거나 차단하는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 밝혔다. 연구결과는 ... ...
여름손님 수족구병 ‘봄의 공습’
동아일보
l
2015.03.23
가라앉는다. ○ 통증 심하면 음식 차게 먹어야 수족구병이라는 진단을 받았다면 열을
조절
하고 청결을 유지하면서 입에 생긴 구내염을 치료해 주는 것이 좋다. 입안의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아이가 식사나 물 마시기가 힘들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뜨겁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고 유동식이나 소화가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주로 합성했다. 또한 연구팀은 합성 조건에 따라 껍질의 두께와 주기를 자유자재로
조절
하는 데 성공했다. 가스 주입량이 많아지면 나노선 껍질의 주기가 짧아지고, 온도를 높이면 껍질의 주기가 길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박 교수는 “나노선 합성이라는 새로운 연구분야를 ... ...
신생아 ‘
조절
T세포’ 효과 첫 입증
2015.03.20
면역세포는 필요에 따라 자기 몸의 세포를 파괴하기도 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외부에서 침입한 세포를 무찔러 우리 몸을 지킨다. 하지만 면역세 ...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성체에서 유래한
조절
T세포보다는 신생아에서 유래한
조절
T세포를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 ...
‘사랑하면 죽는 병’ 막아주는 생체물질 발견
2015.03.19
사실을 이번에 처음으로 밝혀냈다. 특히 PDE9가
조절
하는 cGMP는 기존의 PDE5가
조절
하는 것과는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진 것이어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동익 박사는 본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PDE5와 PDE9를 동시에 활용하면 비후성 심장 질환을 포함한 심부전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 ...
아토피, 천식…난치성 알레르기 질환 완치되나
2015.03.18
피부 부위 등을 떼어내 반응성을 떨어뜨린 후 다시 이식을 받는 방식이다. 김 교수는 “
조절
B세포와 비만세포의 결합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 억제 현상을 규명한 것은 세계적으로 처음”이라며 “음식 알레르기, 아토피 피부염 등 알레르기 질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임상연구에 적용가능 할 ... ...
노년층 입원 질환 1위 백내장, 원인은 ‘노화’
동아닷컴
l
2015.03.18
2011년 240만 2340명으로 4년간 18.88% 상승했다. 백내장은 눈 속의 수정체(눈에 들어오는 빛을
조절
해주는 볼록렌즈 모양의 조직)가 혼탁해지는 질환이다. 수정체가 혼탁해지면 빛이 수정체를 제대로 통과하지 못해 사물이 뿌옇게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건이나 글자를 제대로 분간하기 어렵고 ... ...
드라마 ‘스샷’ 찍듯 단백질 반응 찍는다
2015.03.17
기체로 끓는 순간 단백질 반응도 정지하기 때문에 모세관으로 물방울을 흡수하는 시간을
조절
하면 단백질 반응 과정 중 어느 순간이든 자유롭게 관찰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드라마나 영화 같은 영상을 보는 도중 화면을 멈추고 ‘캡처’하는 것과 유사하다. 이 방법을 이용해 연구팀은 단백질 ... ...
미래형 3차원 반도체 제조법 발견
2015.03.16
조절
하자 원하는 형태로 입체구조가 만들어졌다. 김 교수는 “반응물질의 농도를
조절
하는 것만으로 정교한 3차원 나노구조체를 손쉽게 만들 수 있게 됐다”며 “압력의 차이를 인식하는 고성능 센서, 빛을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하는 광소자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