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튜브 스타 스티브 스팽글러와 과학의 원리 배워요
연합뉴스
l
2020.07.29
가진 스티브 스팽글러는 2007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꼽은 세계에서 영향력 있는
100
인 명단에서 18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스티브 스팽글러는 이 프로그램에서 접시와 식탁보를 이용해 '관성'에 대해 알아보는 간단한 실험부터 학교 운동장에서 부모님과 함께하는 '무지개' 실험까지 시청자들도 ... ...
ITER사무총장 "우리는 한 팀. 누구도 진보 막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대신 재생에너지를
100
% 사용해야 한다는 비판도 있다. -인구가 거의 80억이 됐고 곧
100
억이 될 것이다. 인구의 도시 집중도 심해져 80%의 사람이 도시에 살게 될 전망이다(유엔 경제사회국의 2018년 전망에 따르면 2050년 약 70%의 인구가 도시에 살 것으로 추정되며 이 비율은 더 높아질 전망이다). ... ...
최기영 과기장관 "국산 코로나19 백신 내년 9월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계획대로라면 내년 9월에는 국산 백신이 나올 것 같다”며 “외국에서 개발되는 것을
100
% 의존할 수 없기에 우리는 우리 나름의 백신 개발을 끝까지 가자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최 장관은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주인 빌 게이츠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 재단 회장이 지난 20일 문재인 ... ...
달에 탐사선도 못보내는 반쪽짜리 로켓 개발 제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액체로켓은 사거리와 탑재 중량에 제한이 없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고체로켓은
100
만파운드·초 이하로 제한해왔다. 소형위성 빼고는 고체로켓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남겨 놓은 것이다. 고체로켓 추력을 늘려 한국형 발사체의 활용 범위를 확대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해온 것이다. 반면 미국의 ... ...
4차례 개정 끝에 풀린 '우주개발 걸림돌'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추력에 관한 지침은 잇따른 개정에도 바뀌지 않아 왔다. 지금까지 고체로켓의 추력은
100
만 파운드·초로 제한됐다. 이는 500kg 물체를 300km 운반할 때 필요한 힘으로 1차 개정의 제한과 같다. 이에 따라 2013년 발사한 한국의 우주발사체 나로호 상단에 쓰인 고체로켓도 이 기준에 맞는 8t급 추력을 ... ...
자체 개발 발사체로 달탐사·뉴스페이스 대응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중량 등과 함께 고체로켓 사용을 제한했다. 국내에서 제조할 수 있는 고체로켓 총추력은
100
만파운드·초 이하로 제한됐다. 이는 500kg의 물체를 300km 이상 운반할 때 필요한 힘이다. 2013년 발사한 우주발사체 ‘나로호’ 상단에 고체로켓이 사용됐지만 이 기준에 맞춰 제작됐다. 이같은 제한이 한미 ... ...
한·미 미사일지침 개정…고체연료 사용제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관련 개정은 논의되지 않았다. 추진력을
100
만 파운드·초(Ib·sec)로 제한해 왔다.
100
만 파운드·초는 500㎏을 300㎞ 이상 운반할 때 필요한 단위다. 발사체를 우주로 보내기 위해서는 5000~6000만 파운드·초가 필요하다. 기존 지침은 우주 발사체에 필요한 총에너지의 50분의 1, 60분의 1 수준만 사용하도록 ... ...
美모더나·화이자, 나란히 코로나19 백신 임상3상 착수 '내년초 생산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만명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한다. 미국 정부는 올해 말까지 화이자가 개발중인 백신
100
만 도스(1도스는 1회 접종분)를 19억5000만달러(약 2조3200억원)에 구매하는 선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주 밝혔다. 화이자의 경우 백신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데 4~6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 ...
정은경 "코로나19 3대 위험요인 세계적유행-여름휴가-고위험군"
연합뉴스
l
2020.07.28
양상을 보인다. 일본과 홍콩에서는 일일 확진자 수가 최근 각각 700∼800명에 이르고,
100
명 규모로 확진자가 발생한 중국은 신장위구르지역을 중심으로 해서 소규모의 지역감염이 나타나고 있다. 정 본부장은 "전 세계적으로 방역조치를 조금 완화하면 다시 환자가 증가하는 반복적인 패턴을 ... ...
금세기말 아시아엔 큰 비 많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7
길게 만들어지고 비가 내린다(위 그림의 굵은 점선). 연구팀이 분석 결과 기후변화는
100
년 뒤 이 지역 중 인도 북부와 방글라데시, 필리핀 북부, 서태평양 등의 강우량을 크게 늘리며 많은 곳은 최대 하루 2.5mm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그 여파로 중국 남부와 한반도, 일본 북부 등의 강우량도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