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4,961건 검색되었습니다.
3. 전자보다 1천배고속 21세기 광자시대
과학동아
l
199405
처리할 수 있는 광자식 교환기, 지능형 가전제품, 그리고 교육 문화 예술 영상 의료 해양
우주
등 곳곳에 초고속 대용량 정보처리와 특수기능을 가능케 하는 폭발적이고 회기적인 계기들을 만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21세기 광자과학과 광자기술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이 많은 연구대상의 ... ...
지구과학 - '뉴턴사과' 지구중심낙하 정설 아니다
과학동아
l
199405
그의 저서 프링키피아의 제3부에 게재된 만유인력의 법칙인 것이다. 만유인력의 법칙은
우주
상의 모든 물체는 그들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고 그 크기는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며 두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이다.즉, 질량이 ${m}_{1}$, ${m}_{2}$이고 거리가 r만큼 떨어져 있다면 ... ...
2. 자유분방한 학문편력 고수하는 과학계의 '이단자'
과학동아
l
199404
동조하는 과학자들을 찾기가 대단히 어려웠다. 그러나 1975년 화성에 처음 안착한 바이킹
우주
선이 어떤 생물의 존재도 발견하지 못함으로써 그의 예언은 마침내 증명됐다.발명가 러브록이처럼 처음에는 외계의 행성에서 생물의 존재를 찾는 연구에 골몰하다가 급기야는 지구로 관심을 돌려서 ... ...
3. '지구의 허파' 열대우림 파괴는 어떤 핵전쟁보다 끔찍한 일
과학동아
l
199404
인류가 제2의 안식처로 삼기에 가장 적합한 곳으로 오래 전부터 손꼽혀왔다.바이킹
우주
선이 찍어보낸 사진들에 의하면 그 지표면에는 물이 말라버린 운하 형태가 무수히 발견된다. 극히 얇지만 대기권이 존재하여 구름과 모래 폭풍우의 현상도 나타나는 듯하다.러브록의 에코포이시스 ... ...
뮤입자를 이용해 인체 내 미량원소를 측정
과학동아
l
199404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고 보도했다. 뮤입자는
우주
공간으로부터 지구에 쏟아지는
우주
선 가운데 발견한 소립자의 일종. 이를 인공적으로 만들려면 아주 강력한 양성자가속기가 필요하다. 뮤입자는 사람 몸에 들어가서 정지할 때 X선을 방출한다. 이 X선 에너지의 강도를 검출하면 목적하는 곳의 ... ...
4. 새로운 과학인가 20세기 신화인가
과학동아
l
199404
하더라도 그것만으로는 이 대지가 살아 있다는 증명이 되지 못함을 그는 인정한다. 그는
우주
공간으로의 여행이 지구를 육안으로 보게 해 주었을 뿐 아니라 지구상의 생물과 무생물 사이 상호작용에 관한 새로운 직관을 제공해줌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하나의 가설이 성립될 수 있게 되었다고 ... ...
PARTⅢ 의료·유전공학·에너지 분야서 2천년대 국가 경쟁력 좌우
과학동아
l
199404
위한 것과, 열에너지 자체를 이용해서 난방 공정열 등으로 사용하는 것, 선박이나
우주
선 등의 추진력으로 사용하는 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방사선이나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는 분야는 적용되는 산업분야에 따라 의학적이용 공학적이용 농학적이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에너지 이용분야는 ... ...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404
계속 얘기해 보도록 하자. 천문소식■ 94별축제천문대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
우주
소년단에서 주최하는 '94 별의 축제'가 4월16일 오후 5시부터 올림픽대교 남단 한강고수부지 용성레저타운에서 개최된다.평소 별을 보고 싶어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개방되는 이 행사는 천체와 관련된 강연 ... ...
3. 1996년 2단 중형 로켓발사의 디딤돌
과학동아
l
199403
거쳤다. 최종 2회는 실제 발사될 로켓의 추진기관과 동일한 규모로 실시했다.항공
우주
연구소는 1단형 과학로켓 개발로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1993년 11월부터 2단형 중형로켓 개발에 착수했다. 2단형 중형 로켓은 최대고도가 약 1백70km까지 가능하므로 오존층 탐사뿐 아니라 이온층 탐사, X선 탐사 등 ... ...
4. 극저온·초고온에 견디는 신소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03
따라서 이 재료는 가장 극심한 조건에 노출되고 있는 노즐목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우주
왕복선이나 대기권 재돌입 비행체의 날개는 2천℃ 이상의 온도로 상승하므로 탄소·탄소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서 퍼싱1A 로켓과 비교해 탄소·탄소 노즐을 사용한 퍼싱2 로켓은 비행거리가 2배 증가됐다. 이는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