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가
국토
국민
겨레
민족
세상
배달나라
d라이브러리
"
나라
"(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천문학 중력파 천체물리학이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그 안테나에 수신 되었다고 모임에서 발표하였다. 즉 세계적인 발견을 한 셈이다.다른
나라
학자들의 반응이 어떤지는 아직 모르겟지만 제시된 자료들을 보니 필자의 견해로는 상당히 신빙성이 있어 보였다. 물론 중력파 안테나의 경우는 그 정밀함이 생명일 것이다. 하지만 그다지 규모가 크지도 ... ...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또 이 도시는 서기 737~755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당시 당
나라
의 장안(長安)에 다음가는 규모였다고 해설하고 있다.그 성의 4m 나 되던 토성성곽이 지금은 거의 허물어져 평지와 다름없고 군데군데 몇곳에 2m 정도의 흔적이 남아 있다. 그 토성의 흔적 양쪽엔 ... ...
인류 최대의 문화유산 앙코르와트사원을 구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는 유네스코의 요청을 받고 현지에 파견돼 일하고 있다.그러나 캄보디아정부는 다른 어느
나라
보다 프랑스정부의 지원과 프랑스학자들이 대거 복구작업에 참여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문화부장관인 '청 폰'은 "프랑스 학자들은 과거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이 사원의 보존에 힘썼다. 앙코르와트에 ... ...
환경파괴, 전지구적 규모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세울 수 있을까? 브라질의 삼림파괴는 좋은 예의 하나이다. 아마존 밀림의 파손은 이
나라
의 채무와 관련되어 있지만 채권자의 이익을 위해 귀중한 산소의 공급원이 줄어드는 것에 대해 전세계는 아무런 대책도 세우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과학의 세계는 이론과 실험으로 구성된다.그러나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공급하는 자리에 만족하면 그뿐이지 그 지식이 어떻게 이용되는지를 알 수가 없다.
나라
에 따라서는 과학기술자들의 행정 등의 참여가 높은 경우도 없지 않지만, 대체로 과학기술자들은 그들의 지식을 이용하는 기본정책의 결정으로부터 소외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어느 분야를 우선적으로 ... ...
대중적 관심 끌어내는 데는 성공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진단하고 그 처방전을 제시하고 있다.재미있는 별자리여행(이태형 지음, 김영사)우리
나라
에서 볼 수 있는 별을 계절별로 관측하여 그것을 찾는 방법을 설명하고, 각각의 별들을 이어 재미있는 그림으로 만들어 보여준다. 지은이는 아마추어전문가. 별에 얽힌 신화와 숨겨진 이야기 별점(점성술)등이 ... ...
세일즈 엔지니어 우리기술을 세계에 팔며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퇴근을 하여 밥을 지어 먹고 나면 자정이 넘어 잠자리에 드는 생활이 계속됐다. 다른
나라
에서 채용되어 온 직원들이 오후 1시부터 4시까지의 휴식시간을 철저히 지키고 오후 7시에 퇴근을 하루 8시간 근무를 지키고 있어 속으로 야속한 마음이 들기도 하였지만 어쩔 도리가 없었다. ●― ... ...
암의 메커니즘까지 밝혀낸 분자생물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있다. 인간 유전자 계획이다. 우리의 유전정보를 집대성하는 이 작업은 수많은
나라
에서 참여하고 있는데, 이 계획이 완료되면 우리 몸의 유전자 지도가 눈앞에 펼쳐질 것이다 ... ...
80년대의 한국 과학·기술 양과 질에서 눈부신 변화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우리 과학계가 성장했다는 것을 의마하는 것이기도 하다.이리하여 지난 10년간 우리
나라
과학기술계는 2000년대에 선진국수준에 오르기 위한 장기적인 노력에서 매우 중요한 기반작업을 수행했다 ... ...
PARTⅠ에너지 ENERGY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에너지 위기는 언제 다시 올지 모르는 것이다. 특히 우리
나라
와 같이 지하자원이 빈약한
나라
에서는 우수한 두뇌들을 활용, 새로운 에너지를 개발해야 에너지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환경보존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바이오에너지의 개발에는 미생물학자 생화학자 생물공학자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