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2. 40억년 전 비밀 캐는 끝없는 논쟁 생명의 기원과학동아 l1996년 09호
- 종합병원의 스조스탁은 RNA의 변형체들이 RNA의 복제를 촉진하는 현상을 발견했다.세포내 단백질공장인 리보솜(ribosome)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발견됐다. 리보솜은 40%가 단백질, 60%가 RNA로 구성된 기관으로, 이곳에서 하나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과 연결돼 긴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그런데 ... ...
- '뚱뚱한 미국' 불가피한 선택 비만 치료제 정식 인정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신경전달물질이 관심을 끌고 있다. 신경전달물질은 신경의 말단에서 분비돼 다른 신경세포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제까지 알려진 것만 10여가지가 된다.사람의 대뇌와 척수 사이에는 시상하부라는 것이 있다. 이곳에는 식사를 하고 난 다음 배부른 느낌을 갖게 하고 식욕을 조절하는 포만 ... ...
- 불면증 치료에서 항암제까지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사실이 밝혀졌다. 또 적절한 시각(주로 밤)에 투여된 멜라토닌이 시교차상핵의 대사율과 세포의 전기활동을 변화시킨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는 송과선이 멜라토닌을 분비해 ‘간접적으로’ 생활 리듬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한편 인공적으로 합성된 멜라토닌 약물이 ‘편하게’ 잠드는 ... ...
- 왜 양약과 한약으로 나눠졌을까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정리, 입증됐다. 예를 들어 뇌신경 세포 이상은 정신적 병의 원인이고, 췌장 세포 이상은 당뇨병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약 역사상 파라켈수스의 가장 훌륭한 지혜는 약은 동·식물 그대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약성분을 분리해 사용해야 한다고 역설한 점이다. 그는 동·식물을 추출, 증류, 승화 ... ...
- 2. 몸 곳곳을 누비는 통증과학동아 l1996년 07호
- convergence-projection theory)이다.척수에는 고위 중추로 통증정보를 전달(투사)하는 신경세포가 있는데, 피부에서 오는 통각 정보와 장기에서 오는 통각 정보가 척수에서 동일한 투사 신경에 정보를 전달(폭주)해 연관통이 발생한다는 것이다(그림4). 일상 생활에서 피부의 손상이 장기 손상보다 월등이 ... ...
- 동맥경화 해결사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은 지방조직에 축적돼 추위로부터 우리를 보호해준다. 이 밖에도 에너지원으로서, 세포막의 성분으로서, 인체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노릇을 한다. 또 음식으로 섭취하거나 몸안에서 생성된 콜레스테롤은 성호르몬, 부신피질 호르몬 등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원료물질이 되기도 한다.지질은 ...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병은 나아도 고통은 남는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남아 있기 때문에 아픔의 근원을 완전히 없애지 못한다" 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암세포가 척추에 퍼져 등과 허리가 아프다고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10정도의 통증을 3-4정도로 줄이는 것일 뿐이다. 그래서 그는 병의 근원을 없앤다는 느낌을 주는 '치료' 라는 말보다 단지 통증의 정도를 조절한다는 ... ...
- 로봇, 사이보그, 그리고 안드로이드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시험관 아기' 에 비하면 엄청난 충격이었다. 정자와 난자의 결합이 아닌, 단일 개체의 체세포에서 무성(無性)적으로 새로운 개체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은 어쩌면 신에 대한 도전이라고 생각했을테니까.1975년 미국 FDA의 규정에 의해 생명의 실험에 관한 연구 지원이 금지되었고 현재는 보다 복잡한 ... ...
- 3. 통증을 정복한다 : 우리 몸에는 '천연아편' 이 존재한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구조가 아편 분자의 구조와 흡사해서 일어나는 현상이었다. 즉 날록손 분자가 뇌 부위 세포막에 있는 아편 수용체에 미리 결합해 나중에 투입된 아편 분자가 결합할 수 없게 만든 것이다.수용체를 발견한 뒤 다음 단계는 왜 이들이 중추신경계에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었다. 수용체는 아편이나 강력한 ... ...
- 2. 운동요법과학동아 l1996년 06호
- 된다.지방세포의 수는 이미 유아기에 결정되기 때문에 살이 찌고 빠지는 것은 지방세포들이 풍선처럼 부풀었다 줄었다 하는 크기 변화가 원인이다. 따라서 운동으로 지방이 제거됐다 해도 언젠가는 다시 원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하지만 운동을 시작한 사람 중 대다수가 금방 포기하고 만다. 그 주된 ... ...
이전3883893903913923933943953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