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뉴스
"
우주
"(으)로 총 7,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에서 33일 머물며 '머슬퀸'된 암컷 쥐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참고로 미어와 코크는 지난해 10월 여성으로만 구성된 팀으로 ISS 밖에서 최초로
우주
유영을 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연구팀이 쥐에서 근육 생성을 억제하는 마이오스타틴 유전자가 활성화되지 못하게 처리하자 근육량이 2배 가까이 증가한 '마이티 마우스'가 됐다(아래). 아무런 조작을 ... ...
중국도 이젠
우주
왕복선 보유국…미·러 이어 세 번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7
2016년 중국 간쑤성 주취안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長征) 2호’가 지구 궤도로 올라가고 있다. CCTV 캡처 중국이 이달 4일 발사한 재사용
우주
선이 6일 착륙에 ...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 때문에 이번에 발사된 중국
우주
선도 군 기술을 시험하는
우주
선이 아니겠냐는 추정도 제기된다 ... ...
[프리미엄 리포트] 세계 최강 '울트라 블랙' 생명체
과학동아
l
2020.09.05
반타블랙이라는 이름을 붙이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반타블랙 소재는 현재
우주
망원경이나 태양전지, 자동차 등에 유용하게 쓰인다. 하지만 아직은 안정성 면에서 다소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데이비스 연구원은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다루는 데 높은 온도가 필요해 제작이 까다롭고, ... ...
파란 회오리바람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과학동아
l
2020.09.05
‘파란 회오리바람(blue whirl)’의 형성 원인을 밝혔다. 조셉 청 미국 메릴랜드대 항공
우주
공학과 교수팀은 2016년 액체 탄화수소로 불꽃 회오리바람을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는 실험을 진행하던 중 파란 회오리바람 현상을 발견했다. 파란색 고리 모양 불꽃이 토네이도처럼 회전하며 타오른 것이다. ... ...
한여름 펄펄 끓는 자동차 안 전기 안 쓰고 식혀줄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5
사실을 확인했다. 전자기파는 지구 대기가 잘 흡수하지 못하는 파장을 지녀 그대로
우주
까지 퍼져 흩어졌다. 송 교수는 전화 통화에서 “PDMS는 전자기파의 형태로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사각형 패턴을 이용해 대기가 흡수하지 않는 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출시키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송영민 ... ...
스타링크 위성인터넷, 온라인게임·HD영화 즐긴다..LTE급 속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4
STK 프로그램을 통해 지구 위에 표시했다. 한국천문연구원
우주
위험감시센터 제공 미국
우주
개발기업 스페이스X의 위성인터넷 프로젝트 ‘스타링크’의 인터넷 속도가 공개됐다. 100 Mbps(초당 메가비트)로 온라인 비디오 게임이나 HD급(고화질) 영화 여러 편을 끊김없이 즐기는데 문제가 없다는 게 ... ...
차세대 태양전지,
우주
테스트 성공
과학동아
l
2020.09.04
이들의 수명과 안정성을 더욱 높이는 연구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부슈바움 교수는 “
우주
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태양전지를 만든다는 것은 더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만든다는 뜻”이라며 “지구에서도 활용 가능한 태양전지 기술로 발전시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 ...
지구가 달을 녹슬게 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밝히면서 연구팀은 달의 철도 녹슬 수 있다는 가정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미국항공
우주
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가 인도 달 탐사선 찬드라얀 1호에 탑재한 ‘달 광물 지도작성기(M3)’가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철이 산화해 만들어진 적철광이 달의 고위도 지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 ...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블랙홀 병합 중력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142배로 밝혀졌다. 태양 질량의 약 8~9배에 해당하는 질량이 에너지로 바뀌어 중력파로
우주
곳곳에 전해졌고, 70억 년이 지나 지구에도 전달된 것이다. ●태양 질량 142배 '중간질량 블랙홀' 첫 확인 특이한 것은 이들의 질량이었다. 병합으로 탄생한 블랙홀의 질량대는 인류가 한번도 직접 관측한 ... ...
청년 과학기술인 육성 실적 '저공행진'·
우주
산업 생태계 조성 예산 ‘쥐꼬리’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5억원의 추가 예산이 소요될 전망”이라며 “사업 지연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한국항공
우주
연구원 및 점검평가단의 상시 진단 및 정밀 점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