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09
Prologue_ 1933년 소련의 가모프 박사는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관측하다가 이상한 빛줄기를 발견했습니다. 빛줄기를 해독하자 거기에는 빅뱅의 비밀과 지구인에게 보내는 메시지가 들어 있었습니다. 우주의 암흑군주가 보낸 악마가 히틀러의 몸 속으로 들어가 지구를 위험에 빠뜨린다는 내용이었지요 ... ...
작지만 강한 이자율의 위력
수학동아
l
201009
얼마 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 올려서 신문과 방송에서 커다란 뉴스가 됐어요.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가리키는 이자율을 겨우 0.25% 올린 것뿐인데 왜 그리 호들갑이었을까요? 이유는 이자율이 돈의 가치와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기준금리는 이자율을 움직이는 핵심 열쇠랍니다.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09
방안 1 백짓장도 나눠들면 낫다 - 클러스터200kg의 짐을 1시간 안에 10km 떨어진 곳에 옮긴다고 할 때 50kg짜리 짐을 시속 80km로 옮기는 자동차를 한 대 사용하면 네 번 왕복해 옮길 수 있다. 그러나 100kg짜리 짐을 시속 40km로 옮기는 자동차 두 대를 사용하면 두 번 왕복해 옮길 수 있다. 만일 자동차도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09
점도 해양생물종의 수를 낮춘 원인으로 지목된다. 캐나다 댈하우지대의 론 도르
교수
는 “이번 조사에서는 세균 같은 미생물이 대상에서 빠졌다”며 “5600종의 신종이 추가됐지만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생물종이 10만 종 이상 더 있을 것이며 미생물까지 합치면 그 수는 수백만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09
통해 성체의 신경세포가 생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한 사무엘 웨이스
교수
는 현재까지도 신경줄기세포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 분야에서 보유한 특허만 30건이 넘고 그가 설립한 바이오벤처 스템셀테라뷰틱스 사는 뇌출혈을 비롯한 다양한 중추신경계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09
차례 겪어야 합니다.”그렇다면 연구실을 졸업한 학생들은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윤
교수
는 “삼성전자나 LG전자 같은 곳에서 실리콘 메모리나 화합물반도체를 개발하는 졸업생이 가장 많다”면서도 “연구실에서 화합물반도체의 다양한 광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꿈을 펼칠 ... ...
스스로 싸우는 전투 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009
사실 사람도 얼굴로 적군을 알아본다기보다는 군복과 같은 다른 정보를 이용한다. 김
교수
는 “만약 적군과 아군, 민간인의 복장 색깔이 잘 구분돼 있다면 이런 정보를 이용해 구분할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총과 같은 특정 물체를 인식해 군인과 민간인을 구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적군이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09
프랑스 파리를 11시 방향에서 5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지하철 1호선의 중간쯤에서 내리면 이 도시에서 가장 커다란 유리 피라미드를 볼 수 있다. 루브르미술관 정문이다 ...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500년이 지난 지금도 최고의 화가이자 과학자로 인정받고 있는 이유라고 조
교수
는 주장했다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09
관련된 맛 조절기술에 대한 연구를 7~8년 전부터 진행 중이다. 데시몬
교수
와 라이얄
교수
팀은 특히 짠맛 조절 연구에 힘을 기울이고 있었다. 그들은 우리 팀이 우연히 발견한 ‘짠맛을 내는 물질’에 대해 함께 연구하자고 제의했다. 이렇게 연구가 시작됐다.혀와 뇌를 속여라우리 몸은 어떻게 맛을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09
나노구조를 만드는 조건을 찾는 데 쓰인다. 나노광학연구실은 신소재공학부의 정건영
교수
팀과 함께 인듐갈륨나이트라이드 청색 LED의 발광효율을 30% 이상 높일 수 있는 원천기술을 지난해 개발했다. 이 연구는 올해 4월 재료공학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에 발표됐다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