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d라이브러리
"
모두
"(으)로 총 9,990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10
牛海異魚譜)’와 더불어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어류백과사전으로 평가받는다. 이 두 서적
모두
편찬 당시의 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해 줄뿐 아니라 당대의 언어를 연구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자산어보’의 원본은 전해지지 않고 필사본으로만 전해지고 있다. 필사본들끼리도 각각 내용에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10
개수, 늘어놓은 모양을 바꿔 가면서 여러분의 가설이 맞는지 확인하는 거야.답 동전을
모두
없앨 수 있는 경우는 처음 배열했을 때, 앞면의 개수가 짝수인 경우다. 이 때, 앞면의 개수가 항상 홀수를 유지하도록 동전을 없애 나가면 된다.(중간에 빈 자리가 있으면 빈 자리 없이 연결된 부분에서의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10
신호등 녹색 불의 시간횡단보도를 건널 때면 몇 걸음 가지 않았는데도 녹색 불이 깜빡이는 걸 볼 수 있다. 괜히 마음 급하게 왜 이럴까 하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 가득 차 있답니다. 오늘 배운 원리들을 가족과 친구에게 전해 보세요. 수학과 함께라면
모두
더욱 안전하게 살 수 있어요 ... ...
삼각형은 왜 영어로 'triangle'이라고 부를까?
수학동아
l
200910
‘Washington square’(워싱턴 광장)이 그 대표적인 예다. 변의 길이는 달라도 네 각이
모두
직각인 사각형을 ‘직사각형’이라 하고 영어로‘rectangle’이라 한다. ‘rect’은 ‘직각의’라는 뜻을 가진다.‘오각형’은 변이 다섯 개인 도형을 말한다. 오각형의 영어이름은‘pentagon’으로 ‘5’를 뜻하는 ... ...
꽃의 여왕, 장미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0
없는 줄기에 동그란 꽃잎의 꽃이 주렁주렁 피었고요. 어느 것이 장미일까요?정답은 ‘
모두
’입니다. 장미는 줄기 모양에 따라 표준형과 스프레이형이 있어요. 표준형은 한 줄기에 꽃이 한 송이만 피는 반면에 스프레이형은 한 줄기에서 네 송이 이상의 꽃이 핀답니다. 하지만 스프레이형은 시중에서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10
너무 복잡할 것이다. 되도록 단위를 적게 사용하면서 아주 크거나 아주 작은 수까지
모두
나타낼 수 있어야 편리하다. 그래서 만든 수가 바로 소수다. 실생활에 꼭꼭 숨은 소수 찾아내기 일상에서는 분수보다 소수가 훨씬 많이 쓰인다. 통계 자료의 값은 거의 소수로 표현된다. 신문이나 ...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10
한다.밑면: 입체도형의 아래쪽 면으로, 각기둥에서는 도형의 위쪽과 아래쪽 면
모두
를 말한다.달인 선생님의 수학 수업 3교시 찢어진 휴지가 하나로? 분수마술벌써 마지막 수업시간이 됐어. 선생님이 분수의 덧셈에 대해 공부할 거라고 말하시고는 친구들에게 쉴 틈 없이 분수에 대해 물으셨어.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10
하고 벽에 물건을 ‘놓을’ 때는 ‘붙이다’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그러나 영어는 둘
모두
‘put on’이다. 한국어는 공간 어휘의 표현이 영어보다 세분화돼 있다는 증거다. 미국 어린이에 비해서 한국 어린이가 상대적으로 명사보다 동사 습득이 빠른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한솔교육문화연구원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10
염소 이온을 분리 추출해서 만든 거의 순수한 염화나트륨이다. 천일염이라고 해서
모두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호주나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은 대규모 염전에 해수를 가둔 뒤 1~2년에 한 번씩 소금을 채취하기 때문에 염화나트륨 비중이 98~99%에 이른다. 반면 국산 천일염처럼 ... ...
생명체에서 ‘오른손 분자’도 중요
과학동아
l
200910
오른손과 왼손처럼 서로 거울상의 구조인 두 가지가 존재한다. 그런데 생체 단백질은
모두
왼손 분자, 즉 L-아미노산으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생명체는 왼손잡이라고 불리고는 했다.미국 하버드대 의대 매튜 왈더 교수팀은 박테리아의 세포벽 구조가 주변 상황에 따라 바뀌는 현상에 주목했다. 즉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