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용의자 X의 헌신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때, 훼손이 심각해 도무지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한 남자의 시신이 발견됐다. 부검 결과, 사망자는 도시락 가게 점원 야스코의 전 남편. 사건을 맡은 구사나기 형사는 야스코를 용의자로 지목한다. 그러나 증거가 없다. 사건 당일 야스코의 행적을 샅샅이 조사했지만 알리바이는 빈틈없이 ... ...
- [과학뉴스] 뱀의 비늘을 가진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교수팀은 삼각형, 원형 등 다양한 모양의 비늘을 만들어 이동 속도를 비교했어요. 그 결과, 비늘이 사다리꼴 모양일 때 로봇이 가장 빨랐답니다. 베르톨디 교수는 “앞으로 구조 및 의료 분야에 뱀 로봇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과학뉴스] 외계행성에서 헬륨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구에서 약 20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 ‘WASP-107b’의 대기에 헬륨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WASP-107b가 주인별(host star)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동안 행성의 상층 대기를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관측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자외선 영역의 빛을 ... ...
- [과학뉴스] 젊은이의 흰머리, 유전자 돌연변이 탓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생기면 바이러스 감염에 과잉 면역반응이 일어나고 흰 머리가 날 수 있다”며 “이 연구결과를 활용해 피부 자가면역질환인 백반증과 피부색소세포가 일으키는 피부암인 흑색종의 원인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doi:10.1371/journal.pbio.200364 ... ...
- [과학뉴스] 조용히 수영하는 ‘뱀장어 로봇’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동안 물속에 전류를 방출하지 않아 해양생물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로보틱스’ 4월 25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robotics.aat189 ... ...
- [과학뉴스] ‘새 나라의 엄마’가 건강한 아이 키운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연구팀은 SHR 새끼 쥐는 일반 어미 쥐가, 일반 새끼 쥐는 SHR 어미 쥐가 키우도록 했다. 그 결과 SHR 어미 쥐가 키운 일반 새끼 쥐는 성장하면서 심혈관계 질환이 생겼다. 반면 일반 어미 쥐가 키운 SHR 새끼 쥐는 오히려 증상이 완화됐다.수모바 단장은 “부모의 생체리듬이 자녀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특성을 결정하는 모든 유전정보가 담겼다. 벤다마네 연구원는 “월계화의 게놈 분석 결과 장미의 유전자는 같은 장미과(科)인 딸기와 비슷하다”며 “장미의 향기를 결정하는 유전자와 딸기의 단맛을 내는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비슷하다”고 밝혔다. 김우택 연세대 시스템생물학과 교수는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난해 11월 15일 발생한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 건설 과정에서 강한 압력으로 주입한 물에 의한 유발지진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자 정부는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의 연관성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 ...
- [Issue] 과학으로 카운트다운, 6·13 지방선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들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장치(fMRI)로 촬영했습니다. 면담 결과, 40명은 대선 결과가 개인적인 삶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고, 20명은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때 재밌는 건 부정적으로 답했던 40명 중에도 우울증 증상을 보이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 ...
- [Culture] 소행성 ‘베누’ 샘플 귀환 작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근지구천체의 위협으로부터 지구를 보호할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러시아 연구팀의 연구 결과처럼 소행성이 지구에 근접한 경우를 가정해서 그에 따른 대응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기술적 타당성 등을 논의해왔다. 최근에는 2017년 일본 도쿄에서 행성방위학회가 열렸다 ... ...
이전3893903913923933943953963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