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앙글레르 교수가 보낸 논문이 미국물리학회지에 게재된 바로 그 날 힉스 교수가 같은 곳에 논문을 투고했음을 알 수 있다.물론 이 말은 힉스 교수가 앙글레르 교수의 연구를 보지 않고 연구를 독립적으로 했다는 뜻이며, 편집자가 넣은 것으로 보이는 논문 주석에도 이 사실이 언급돼 있다. 하지만 두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습니다. 우주로 튕겨 나가려는 원심력과 지구가 끌어당기는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곳에 놓여있지요. 대체로 상공 800~1000km 구간에 몰려있습니다만, 이들로부터 완전히 안전한 지역은 없답니다.주인공이 타고 있던 우주왕복선은 바로 이 우주쓰레기에 휩쓸려 파괴됩니다. 러시아에서 미사일로 자국 ... ...
- [life & Tech] 동물은 어떻게 커플이 되었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자신의 외모를 점검해봤다. 얼굴은 이 정도면 평균 이상이며, 들어갈 곳이 나오고 나올 곳이 들어간 느낌이 없지는 않지만 보기에 썩 나쁘진 않다. 그렇다면 옷은 어떻게 입는 것이 좋을지 고민된다. 아무것도 모르는 것처럼 청순하게? 엘리트 직장인 마냥 지적으로? 그것도 아니면…, 금방이라도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강력 양면테이프로 병뚜껑 안쪽에 네오디뮴 자석을 붙여 고정한다.❹ 병뚜껑 한쪽에 송곳으로 구멍을 뚫고, ❷의 에나멜선 끝을 병뚜껑 구멍으로 통과시킨다.❺ 사포에 부착된 에나멜선이 병뚜껑의 안쪽을 향하게 해 떨어지지 않게 고정한다.❻ 에나멜선의 끝부분을 벗겨내고 이어폰잭과 연결한다 ... ...
- 병원에서 귀신도 쫓나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비슷한 행위를 하는데 종교야 원래 검증되지 않은 초자연적인 존재를 깔고 들어가는 곳이니 딱히 뭐라 할 생각은 없습니다.그런데 어느 병원에서 빙의치료를 한다는 게 아니겠습니까. 서울에 있는 한 한의원이었습니다(요즘 세상이 하도 흉흉하여 이름은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홈페이지를 보면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결국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게 핵심입니다. 내가 뭘 좋아하는지 알려면 다양한 곳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내가 주관이 없으면 내가 뭘 좋아하는지 찾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좋아하는 분야를 찾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심과 경험이 필요하다는 게 최 교수의 지론이다.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한 번 태워주지 못해선 안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한국에서 이 단장을 원하는 곳은 많았다. 그의 전공과 앞선 기술력을 높이 산 자동차 회사에서도 연락이 왔다. 하지만 이 단장은 모든 제의를 뒤로 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택했다. 비행기와 로켓 등 여러 분야를 주도적으로 연구하려면 ...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자랑해달라고 했더니 특별한 전시물보다도 활동을 꼽았다. “박물관은 고즈넉한 곳이 되어서는 안 되요. 늘 사람들이 오고가고 시끄럽고, 뭔가가 열려야 하죠. 특히 우리나라는 성인을 위한 좋은 강연이 별로 없었어요. 우리가 요즘 성인 대상 강연을 시도하고 있는데 꽤 잘 되고 있어요.”대학에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2m 길이의 레고 모형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직접 움직이는 공장의 이곳 저곳을 살펴보고, 생산라인의 구성 요소나 형태, 움직이는 방법, 제품의 생산량 등을 바꿔가면서 실험해 볼 수 있도록 했다. 매스 CEO의 조언 ➍ 유럽에 가려면 중국을 들렀다 가라고?저는 작은 호텔을 경영하고 있는데, ... ...
- 통계로 미래를 본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이에요.그런데 놀라운 것은 디지털 카메라를 가장 먼저 개발한 곳이 코닥이었다는 거예요. 1975년 당시 코닥의 경영진들은 필름 카메라 산업에 더 몰두하라고 지시했어요. 그때만 하더라도 필름 카메라의 시장 점유율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었거든요. 그래서 새 제품을 출시해 ... ...
이전3893903913923933943953963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