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2. 두꺼운 얼음 밑에서 지하자원 캐낸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늘어난다는 보고서를 내놓기도 했다. 그만큼 채굴할 수 있는 시간이 길어져 생산비를
줄
일 수 있다는 뜻이다.여기에 천정부지로 오르는 국제유가는 북극해 유전에서 생산된 석유가스의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지구온난화와 치솟는 국제유가가 북극해에 꼭꼭 감춰져 있던 ‘그림의 떡’을 ‘손 ... ...
오일러 앞지른 최석정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설명했다. 5개 부대(색)에서 계급이 다른 장교 5명 총 25명을 가로 세로 5
줄
로 세워서 어떤
줄
에서도 부대와 계급이 다르게 배치할 수 있지만(왼쪽) 6개 부대에서 계급이 다른 장교 6명 총 36명은 이렇게 배치할 수 없다(오른쪽) ... ...
PART2 과학으로 무장한 태극전사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성공률이 떨어졌다. 가로들기로 얻은 득점도 2005년 평균 3.62점에서 2007년 평균 1.78점으로
줄
었다. 또 흥미롭게 2007년에는 먼저 공격하는 선수(29.9%)에 비해 나중에 공격하는 선수의 가로들기 성공률(37%)이 높았다.최 박사는 “최근 그레코로만형에서 1~2점으로 승부가 가려진다는 사실은 그만큼 ... ...
바닷물 온도로 태풍 강도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맞는 재해경보 등 적절한 대비책을 마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
일 수 있을 전망이다.강 박사는 “태풍과 해양의 관계에 관한 관측 자료가 빈약한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5년 안에 연구단이 개발한 해양모델을 바탕으로 태풍예측모델을 개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
2. '블랙홀 공장'짓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아이디어가 실제로 ‘왜 중력은 다른 힘에 비해 터무니없이 약한가?’라는 의문에 답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만약 여분의 차원이 존재한다면, 또 그것이 관측된 중력 세기를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면, LHC의 고에너지 입자 충돌 과정에서 강한 중력 효과가 발생할 것이며 그 ...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려움 머릿니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밤잠을 설쳤기 때문. 혹시나 하는 마음에 살펴본 아이의 머리에서 1980년대 이후 사라진
줄
로만 알았던 머릿니를 발견했다.최근 ‘머릿니’가 말썽이다. 지난 3월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초등학생 100명 중 4명이 머릿니에 감염됐다. 특히 서울 강남과 경기 분당처럼 비교적 위생상태가 ... ...
미래의 달탐사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달을 탐사할 우주인에겐 어떤 차가 필요할까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는 미래에 달을 탐사할 바퀴가 6개 달린 트럭과, 드릴로 땅을 파는 무인 로봇차를 공 ... 안쪽까지 들어가 드릴로 땅을 뚫고 흙을 채취할 예정이라고 해요. 달의 신비를 벗겨
줄
미래 달탐사 로봇의 활약이 기대되네요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밤 10시부터 새벽 2시까지 분비량이 증가한다. 그런데 성장호르몬의 분비량은
줄
어도 그렐린 분비량은 오히려 증가한다. 만약 자고 싶은 마음이 배고픈 욕구보다 크면 야식을 안 먹겠지만, 반대 상황이라면 어느 순간 라면 한 젓가락을 뜨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반면 어떤 사람들은 밤이 되면 ... ...
캄캄한 '그곳'에서 '오래된 시간'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혜화원 건물을 잇는 다리에 묶인 밧
줄
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었다.“자일에 발 걸고
줄
꼭 잡고 힘껏 밀고 올라가!”“이렇게요? 으윽….”김아름(04학번) 씨가 날랜 몸놀림으로 동굴자일을 이용해 오르내리는 시범을 보이자 동아리의 신참내기 박용우(08학번) 씨가 이를 힘겹게 따라한다. 25℃가 넘는 ... ...
클릭 한 번으로 펼쳐지는 '상상 그 이상의 설계'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돈을 벌기 위한 일은 아니다. 김단장은 설계 방법을 개발해 기업체에 기술을 이전해
줄
때 가장 보람을 느낀다고 말한다. 김 단장은 “앞으로 5년 정도면 트랜스듀서를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단 1%의 가능성만 있다면 연구단은 무엇이든 도전할 것”이라며 포부를 밝혔다. 인터뷰_김윤영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