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연구"(으)로 총 13,04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막내와 함께 용기를 얻다.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2: 새로운 낙원-기사 l20181218
- 공룡 친구들의 모습을 보여드리고 마무리 하겠습니다.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2 : 새로운 낙원' 많이 보러 오세요. (11월 17일 EBS 공룡연구원으로 점박이 2 영화제작사를 견학하고 에치를 만나보았어요.) (11월 10일 EBS 점박이 공룡대백과 스튜디오에서 점박이와 사진을 찍었어요. 싸이 꼬리도 나왔네요. ... ...
- 우주세대에서의 생활은?기사 l20181208
- 맞아 특별 초청강연 라는 강연이 있었다. 박재필 대표님과 신동윤 대표님이 강연을 했다. 박재필 대표님은 초소형 인공위성에 대해 연구하고 초소형 인공위성을 제작하는 '나라스페이스' 라는 기업의 대표님이다. 초소형 인공위성은 일반 인고위성보다 더 가격이 저렴하고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작은 인공위성은 우주에서 일어날 수 있는 충격을 감당하 ...
- 우주 세대가 다가온다! 박재필, 신동윤 대표의 신기한 우주 이야기기사 l20181203
- 친구들이 사전모임을 하고 7시에 본격적으로 강의가 시작하였습니다. 이번 강의의 주인공은 박재필, 신동윤 대표입니다. 우주에 대해 연구하는 이 사람들에 대해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왼쪽으로는 박재필 대표이고, 그 옆에는 신동윤 대표입니다. 먼저 박재필 대표의 강의부터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박재필 대표는 초소형 위성을 만드십니다. 나라스 ...
- 유전자 조작 아기 탄생!!!포스팅 l20181129
- 중국의 어젠쿠이 교수님이 유전자 조작 아기가를 탄생시켰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연구팀은 불임 치료를 받던 부부 7쌍에게서 배아를 얻어 연구에 이용해 왔으나 이는 남방 과기대의 허가를 얻고 한 연구가 아니었던것으로 밣혀졌다 이에 의해해중국뿐만이 아니라 세계 과학계에 비난이 솓아졌다 과연 과학의 끝은 어디일까? ...
- 떨리는 눈망울탐사기록 l20181127
- 연구원님께서 청개구리가 사는 곳을 데려가주셨습니다. 청개구리도 저희가 신기한가봅니다. 저를 가우뚱하며 쳐다보고 있었습니다. 색이 어쩜 저렇게 연두연구 할까요? 눈망울은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걸까요? 저는 저 눈망울이 아직 가슴에 남아 있습니다. 잘 지내고 있지? 보고싶다~! 대마도 산개구리. 아직 어린 개체로 보였습니다. 낮 ...
- 담비 똥은 무슨 맛?탐사기록 l20181127
- 누가 주인공일까요? 담비 똥 위에 노린재. 한 정자 주위로 똥이 있었는데, 저기가 담비화장실인가 봅니다. 담비 똥을 알려주신 배윤혁연구원님을 보고 우리는 와~~!!했습니다. 어떻게 저 똥의 주인을 아신 걸까요? ^^ 저는 저 똥을 담아 오고 싶었는데, 엄마는 그러지 말자고 하셨습니다. 담비 똥을 가지고 오고 싶었는데, 아쉽습니다. 그런데, 노린 ...
- 민물고기를 지켜라!~ 김정훈, 성무성 漁벤저스님들과의 만남~~기사 l20181126
- 한반도에 민물고기에 대해서 연구 하시기 위해서 애쓰시는 모습이 멋지셨습니다. 김정훈 선생님께서는 담수어류 분자 생태학 연구를 하고 싶다고 하셨습니다. 저는 여러 가지에 관심이 많습니다.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 활동을 하면서 제가 정말 무엇을 하고 싶은지 찾고 있습니다. 좋아하는 것은 많지만 아직 제꿈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 과천과학관 과학의 실패 전시에 다녀와서기사 l20181124
- 만들고, 마법을 설명하며, 벽돌로 금을 만드는 것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연금술은 매우 큰 지지를 얻었습니다. 사실 뉴턴도 자신의 연구실에서 연금술을 직접 해봤다고 합니다. 당시 연금술은 화학과 과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연금술은 증류(물과 알코올을 분리하는 것)와 중탕(직접적인 영향 없이 열을 가하는 것)을 개발했습니다. ...
- 개미탐사를 통해 알게된 신기한 개미 여행기사 l20181119
- 수 있으며 허리가 2개라고 합니다. 저희 엄마께서는 개미가 시체를 들고 가는 모습을 많이 보았는데 궁금하다고 말했습니다. 동민수 연구원님께서는 시체가 아니라 서로 들어주는 사회성 활동이라고 답 해 주셨습니다. 그렇게 개미탐사가 끝이 나고 우리가족은 좀 더 남아 개미 모습을 관찰했습니다. 그곳에서 보았던 개미 사진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 을 읽고기사 l20181116
- 마을입니다. 이곳 주민들은 에너지 절약 방법을 배우고 실천하면서, 자발적으로 모임을 구성해 지역에 적합한 태양광 발전기를 연구하고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마을의 50가구 이상이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면서 매달 800kWh의 전기를 절악했답니다. 엄청나게 많은 양이죠!! 이 말을 듣고 성대골 마을로 달려가고 싶을 만큼 너무 부러웠습니다 ...
이전3893903913923933943953963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