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0,271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에서 찾은 지구열병 특효약
과학동아
l
200709
4. 재활용 : 제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자원과 에너지를 아끼자.- 1회용 제품 사용을
가능
한 줄이자.-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자.- 쇼핑을 할 때 재활용 마크가 있는 제품을 찾아서 구입하자.5. 친환경적인 삶을 살자 : 작은 실천이 지구의 온도를 낮춘다.- 나무를 많이 심자.- 태양광 전지 같은 대체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09
酸化炎]으로 가열하면 청색 또는 청록색의 불꽃반응이 일어나므로 할로겐의 검출이
가능
하다 기판 위에 구성된 회로소자와 그 상호접속이 박막으로 이루어진 집적회로 저항·콘덴서·코일 등 회로요소를 세라믹스나 플라스틱 등 절연물 기판에 배치하여 회로를 구성하며 기판에는 이런 회로요소를 ... ...
2007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과학동아
l
200709
HUBO)의 등장이 한몫했다. 지금은 과학 한국의 상징으로 불리는 휴보의 탄생에는 불
가능
이란 편견에 맞서 싸운 ‘휴보 아빠’ 오준호 교수의 땀이 배어 있다. ‘고객을 울리는 감동 만점의 기술’을 주장하는 이희국 사장과 5년째 실험기구를 가득 실은 트럭을 몰고 방방곡곡을 도는 최정훈 교수의 ... ...
뫼비우스의 띠 0.58:1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09
왼손잡이가 됐다.엉뚱한 상상처럼 보이지만 우주가 뫼비우스의 띠처럼 생긴 공간이라면
가능
할 수도 있다. 뫼비우스의 띠는 1858년에 이를 처음 발견한 독일 수학자 아우구스트 뫼비우스의 이름을 땄다. 그는긴직사각형 종이의 한쪽 끝을 180°돌려 양 끝을 이었다. 그리고 한쪽 면에서 띠를 따라 ... ...
PART2 금융상품 탄생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709
만들어달라고 요구하지만 철강은 품질과 가격이 국제적으로 단일하지 않아 불
가능
하다”고 말했다. 반면 금이나 알루미늄, 구리 같은 광물은 국제적으로 동일한 기준을 갖기 때문에 파생금융상품을 만드는 기초자산이 된다.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개발해 판매했을 때 발생하는 위험(리스크)도 ... ...
ISS를 신나는 '과학교실'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09
캔 같은 여러 가지 도구를 활용하면 물체의 회전운동을 보여주는 간단한 ‘즉흥실험’도
가능
할 것”이라고 말했다.하지만 ISS에 있는 장비를 마음대로 쓸 수 없어 그동안 준비했던 실험을 포기해야 하는 경우도 생겼다. 지난해 한 초등학생이 제안했던 ‘우주에서 물을 얼리는 실험’은 중력이 거의 ... ...
십자가로 변신하는 백조
과학동아
l
200709
소형 망원경으로는 천왕성의 표면에 있는 짙은 파란색의 무늬를 확인하는 일이 사실상 불
가능
하다. 쌍안경이 있다면 천왕성보다 태양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해왕성을 함께 찾아보자. 8월 중순에 충을 맞이한 해왕성은 9월에 염소자리에서 7.8등급의 밝기로 빛난다 ... ...
힘들지만 즐거운 아이디어 발전소!
과학동아
l
200709
열에너지로 바꾸는 실외방음벽이 있다”며 소리를 다른 에너지로 바꾼 사례를 알려줬다.
가능
성이 엿보이자 학생들은 본격적으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 시작했다. 장준우(여수종고중 1년) 군은 “소리굽쇠가 진동하면 옆의 소리굽쇠도 같이 진동한다”며 “이를 이용해 자석에 감긴 코일을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09
함수의 집합이다F W 아르켈란더가 독일의 본 천문대의 지름 72mm 망원경을 사용하여 관측
가능
한 모든 항성의 위치와 밝기를 기록한 성도와 성표 1859~86년에 걸쳐 출판되었다 경도(經度)를 기산(起算)하는 기점이 되는 자오선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므로 그리니치 자오선이라고도 하며 보다 ... ...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공간
과학동아
l
200709
박사팀이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결과를 보면 펄서 주변에서 행성이 생성될
가능
성을 엿볼 수 있다. MIT 연구팀은 NASA의 적외선우주망원경 스피처를 이용해 지구에서 카시오페이아자리 방향으로 1만3000광년 떨어진 펄서 ‘4U 0142+61’ 주변을 세밀하게 관측했다. 열을 감지하는 스피처로 관측한 결과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