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6,44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01
교수인 남편으로부터 삼국지의 대인관계를 배우고 있다. 그녀는 상대방이 잘못했을 때도
직접
적으로 잘못을 지적하는 직설적인 화법이 부족해 대인관계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그런데 남편은 유 박사가 욕먹고 논쟁에 휘말릴 때마다 정확한 말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01
수는 없는 상황이다. 복제인간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양측은 발표 외에는 어떤 증거도
직접
공개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들려오는 소식을 종합하면 2003년은 세계 최초의 복제인간이 등장한 해로 인류의 역사에 기록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탄생 가능성 상당히 높다이번에 복제인간 탄생을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01
여길 가능성이 높다.복제인간의 가족관계를 결정할 때 더욱 어려운 것은 상속과
직접
연결돼 상당한 혼란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복제인간의 원본인 체세포 제공자가 ‘나의 모든 재산을 자식들에게 남긴다’고 유언장을 작성하고 사망했다고 생각해보자. 복제인간을 그의 상속인으로 볼 ... ...
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301
호킹은 지하 석탄창고에서 검은 고양이를 찾는 것과 같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당연히
직접
관측하지 못하고 간접적으로 관측할 수밖에 없다. 블랙홀을 관측하는 가장 유력한 방법은 블랙홀이 다른 별과 짝을 이루는 예를 정밀하게 찾는 것이다. 블랙홀은 자신의 강한 중력으로 짝별에서부터 물질을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01
된다.1년 연구 기간이 1주일로단백질은 암과 심장병, 치매, 알레르기 등 다양한 질병의
직접
적 원인이 된다. 정상 단백질은 세포 내에서 제 기능을 수행하며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구조나 형태에 이상이 생기면 이는 곧 질병으로 이어진다. 이처럼 질병의 원인이 되는 질환 단백질을 대량으로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01
밝혀졌다. 집쥐 만한 크기의 이 동물은 이후 모든 태반 포유류로 진화했다. 쥐 속(屬)의
직접
조상은 6백만년 전에 출현했다.집쥐는 빙하기 끝무렵인 기원전 8천년 경 나타났다.소 - 한국 최초의 복제동물세계 최초의 복제동물이 양이라면 한국 최초의 복제동물은 젖소. 1999년 2월 12일 오후 5시 30분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01
동일한 일란성 쌍둥이도 절대로 똑같은 영혼을 갖지 않는 것만 보더라도 영혼이 DNA의
직접
적인 표현일 수는 없다. 하지만 생물학은 유전학이 아니다. 생물학에는 유전학 외에도 유전자와 환경의 관계를 다루는 생태학이 포함돼 있다. 쌍둥이는 유전적으로 동일할지 모르지만 생물학적으로는 절대로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01
생명공학 벤처기업 마크로젠의 서정선 서울의대 교수는 “우리 몸의 질병을 유발하는
직접
적 원인은 단백질이다. 유전자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은 전체 질병 중 5% 내외이며 나머지 95%는 모두 단백질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단백질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는 실질적인 신약 개발로 ... ...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301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수용체를 비롯한 막단백질 연구는 신약 개발과
직접
연관된 분야이므로 우리 손으로 우리 체질에 맞는 신약개발을 위해서라도 막단백질 연구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포스트게놈시대 평정하는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 ...
달에서 갓 태어난 충돌구덩이 발견
과학동아
l
200301
천문학자들은 수십년마다 달에 새로운 크레이터가 생긴다고 믿고 있지만, 이렇게
직접
확인된 적은 없었다.1953년 달에서 섬광이 반짝이던 순간, 미국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레온 스튜어트가 사진을 찍었다. 사진에 찍힌 섬광으로 볼 때 달 표면에 충돌한 물체는 약 3백m 크기의 소행성으로 추정됐다.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