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핍
종족
불충분
결여
모자람
결손
미비
d라이브러리
"
부족
"(으)로 총 4,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 뚱보」가 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고스란히 몸안에 남기 때문이다.또 좋아하는 음식만 골라서 먹다보면 섬유소의 섭취
부족
이 되기 쉽다. 섬유소의 섭취량이 적으면 변비의 원인이 된다. 이때 과일과 야채류를 충분히 섭취하면 섬유소뿐만 아니라, 무기질과 비타민의 보충도 하게 된다.한편 이 시기에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철결핍성 ... ...
기업간 거래도 전산처리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의해 본사는 전국 3천여 체인의 매상실적과 재고를 일일단위로 파악할 수 있어
부족
물품을 적시에 각 체인으로 공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느지역에서 어떤 품목이 인기가 있는가를 분석할 수 있어 이를 킷팅 정보로 활용하고 있다. 실제로 세븐일레븐이 교체한 상품의 품목만 해도 지난 ... ...
몸살 앓는 정부출연 연구소의 속사정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기초프로젝트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에서 특히 기업프로젝트는 항상 예산이
부족
한 연구소측이 로비를 해서라도 따와야 한다는 것. 이런 일을 전담하는 사람이 바로 책임연구원이다. '영업활동'이라고 빗대어 말하는 '프로젝트 따오기'를 잘하는 책임연구원이야말로 아랫사람들을 '먹여 살리는' ... ...
미국의 가뭄피해 날로 확산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죽어가는 가축이 늘고 있다. 또한 오리가 물과 먹이가
부족
, 죽어가고 있으며 수량
부족
은 번식력을 약화시켜 오리의 숫자가 현저하게 줄고 있는 것이다.예측자들은 곡물가는 이미 10%이상 올라가 있지만 이것이 계속해서 오르고 가을부터는 육류값의 오름새가 이어져 내년에는 세계적 규모의 ... ...
인체속에서 놀라운 역할을 하는 원소 미량금속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요즈음 인체에 모자라는 미량금속은 아연만이 아니다. 동(銅 ·Cu)도 철도 망간(Mn)도
부족
한 상태다. 이것은 레토르트식품(retort food ·봉지에 넣은 식품을 1백~1백40도로 가압 살균한 것)을 비롯 식생활 속에서 가공식품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 시작한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가공식품은 품질을 ... ...
미국과 일본의 하이테크경쟁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말았다. 뱃놈나라라고, 전쟁이나 일삼는 상놈이라던 생각은 저멀리 날아간 채, 자원이
부족
한 나라에서 수차례의 전쟁에 패했으면서도 경제대국으로의 면모를 세계적으로 과시하고 있는 일본의 위대함에 한편 숙연해지기까지 했다. 미워도 배울건 배워야겠다는 나의 태도는 누가 강요하는 것도 ... ...
대형의 아동과학전집류 붐 이뤄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불확실한 번역 등 편집기술적인 문제들도 많다.특히 생물체의 명칭이나 기계 등의
부족
품을 번역할 때 마땅한 우리말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계몽사가 최근 출간을 준비중인 과학 전집의 경우, 일본의 원본은 60권으로 돼 있으나 우리 실정에 안맞는 것을 제외하다 보니 32권으로 ... ...
동독(東獨)스포츠의 비밀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부적합하다면 축구선수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만약 훌륭한 선수가 될 소질이
부족
하다는 판정이 나오면 어린아이에게 너무 타격이 되는게 아닐까? 이런 의문에 대해 관계자들은 "부적격 판정이 나면 물론 올림픽 예비선수로 뽑히지는 못하지요. 허나 수퍼스타가 못된다고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이 ... ...
심한 육체적 고통속에서도 보람을…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열기가 밀려왔다. 서울을 떠날 때의 겨울복장은 뉴욕 케네디 공항의 한파에 오히려
부족
함을 느꼈으나, 산티아고 공항에서는 무더운 여름날씨 때문에 짐스럽고 짜증이 나게 하였다. 칠레의 자랑거리인 3W중의 하나인 해양성 기후와 유사해서 기온은 높으나 습도가 낮아 불쾌지수가 낮은 편이다. 공항 ... ...
왜 빛을 내는가? 그 결과로 무엇을 얻고 잃는가? 여름밤의 영롱한 빛 반딧불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1천9백여종이나 발견됐다. 이는 아직 우리의 반딧불에 대한 체계적인 관찰과 연구가
부족
하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끝으로 반딧불이 어떤 과정을 통해 빛을 발(發)하게 되는지 알아보자.사람의 피부에 해당하는 반딧불의 체벽이 바로 발광기관이 된다. 여기서 빛을 내는 반응이 진행되는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