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케줄
계획
예정
예정표
프로그램
스케쥴
진행표
d라이브러리
"
일정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외 또다른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맥동하는 새로운 천체를 발견했다. 그 이후 5백여개의 펄사가···똑, 똑, 똑…차트 위에
일정
한 간격으로 점을 그리던 잉크펜을 보고 있던 조셀린 벨 버넬은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그때 그녀의 나이 24세. 일상적인 모니터 작업을 계속하던 케임브리지 대학원생은 새로운 유형의 별, 즉 펄사를 ... ...
지구의 나이까지 알아 맞힐 수 있는 절대연대 측정방법 5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만든 자발피션트랙의 표면밀도는 우라늄의 양과 경과한 시간에 비례한다. 천연우라늄은
일정
비율의 ${}^{235}$U가 포함돼 있으므로 유도피션트랙의 표면밀도는 단지 우라늄의 양에만 의존한다. 따라서 자발피션트랙의 표면밀도와 유도피션트랙의 표면밀도 비는 곧 그 암석의 연령으로 계산할 수 ... ...
디스크를 잘 관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저장된다. 트랙은 다시 섹터(sector)라는 보다 작은 영역으로 구분된다(그림2). 각 섹터는
일정
한 바이트를 저장한다. 1섹터에는 0.5KB, 즉 5백12바이트가 저장된다. 디스크의 트랙과 섹터수는 형태에 따라 다르다. 플로피디스크의 경우 (표1)과 같은 네가지로 되어 있지만 하드 디스크의 경우는 용량에 ... ...
'파이어니어'와의 안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제안됐으나 경멸당했던 우리 우주의 태양중심설을 증명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금성의
일정
한 상은 태양빛을 반사하고 바로 지구아닌 태양을 공전하고 있는 까닭에 나타나는 현상임을 의미했다.금성은 그러나 가까이서 보면 아름다움이 훨씬 덜하다. 물이 없고 단테의 지옥보다 뜨거워서 금성엔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7명이 모여서 결성됐다. 주교수는 10년동안 회장으로 일했다."나비는 채집시기와 장소가
일정
해서 채집하는 사람끼리 서로 자주 만나게 됩니다. 한 사람 두 사람이 계속 만나서 정보교환을 하다가 아예 모임을 갖기로 했지요."그는 자신을 포함해서 이 모임의 회원들은 한마디로 '나비에 미친 사람들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이것이 중금속과 결합함으로써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게 된다. 그러나 중금속의 양이
일정
한도를 초과하게 되면 몸이탈을 일으킨다. 이때 중금속은 세포내에서 효소의 작용을 방해해 질병을 일으키거나 사망에 이르게 한다.현재 중금속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론 서너가지가 거론되고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 똥의 덩어리가 화산처럼 쌓이고 반대쪽 머리가 향한 구멍은 함몰돼 들어가면서
일정
량의 모래가 쏠려 내려가 먹이의 계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진다. 10회 정도 모래를 먹고 수분간 휴식한 다음 후진하여 굴 밖으로 똥을 배출하는 정확한 반복운동이 이루어진다. 썰물 때 노출된 똥의 덩어리는 밀물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용각류(肢脚類, sauropods)의 보행 방향은 다양하다. 이는 성체(成體)들이 목적에 따라
일정
한 방향으로 군집을 이루며 이동했으나 소형의 미성숙 개체들은 서식처 주변 혹은 어미의 주변에서 특정한 방향없이 배회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또 하나 중요한 사실은 이들 발자국에서 공룡의 보행자세를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오존에서 산소로 또는 산소에서 오존으로 변하는 과정이 균형을 이루면서 오존농도가
일정
하게 유지되고 있었으나 CFC의 등장으로 이 균형이 깨지고 오존이 산소로 변하는 과정이 급격하게 우세해지는 것이다. 선후진국간의 이해 대립남극의 오존구멍이 처음 문제로 등장한 것 온 1985년. 미국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변화로 말미암아 단백질의 기능부위에도 변화가 일어난다. 결국 인산기가 붙거나 또는
일정
시간 후에 떨어지는 것 모두가 분자스위치(molecular switch)로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단백질의 가역적인 인산화란 생체내 중요 단백질의 기능조절을 하는(작동/중지의 기능을 하는) 분자스위치인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