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학이냐? 학과냐? "비인기학과에 도전하세요"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계속할 수는 없잖아요. 뭔가 새로운 것을 우리 과학기술로 만들어 내려면 그 방면의
전문가
를 많이 양성해둬야 겠지요.이번에 시험보는 학생들은 적어도 10년 후를 내다보고 지원서를 써야 할 거예요. 2천년대가 되면 새로운 직업이 많아질 겁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직업수가 약 1만직종, 선진국은 ... ...
주변기기 선택요령③ 카드의 활용을 다양하게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안고 있다. 또 내장형 모뎀카드는 전화선을 이용하므로 속도가 늦다는 결점도 있어
전문가
들 사이에는 굳이 외장형 모뎀을 권하는 사람도 적지않다. 기억용량을 최대한으로퍼스컴을 조금 사용하다 보면 처음에는 신기하게만 느껴졌던 컴퓨터의 성능이 차차 느리고 용량도 모자란다는 생각으로 ... ...
자원식물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있지 않다. 그중 특히 심각한 곳이 중국으로 본토가 넓고 자원이 많은데도 수집보존
전문가
가 적다.그래서 국제식물유전자원이사회가 지원하게 되었다. 지난 85년 개설된 중국 종자은행은 미국 록펠러재단의 지원으로 87년부터 종자저장을 시작, 현재 약30만점을 모았으나 국제이사회가 전문지도원을 ... ...
뿔마저 빼야 하는 운명 코뿔소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검정코뿔소 뿔의 수요가 공급에 비해 엄청나게 초과돼 있는 실정이다.케냐의 코뿔소
전문가
'에스몬드 마틴'씨에 따르면 검정코뿔소의 뿔은 국제시장에서 ㎏당 1만8천달러를 홋가하고 있다고 한다.뿔 1개는 보통 4~5㎏ 정도가 된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상태라면 가까운 장래에 검정코뿔소는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공장지배인이 겸임하며 교원의 대부분은 공장에서 일하며 가르치는 과학자·기사·
전문가
들이다. 학생들은 물론 공장이나 기업소의 근로자들. 공장대학의 수업연한은 4년이며 수업은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주당 18시간이다. 73년 현재 학생수는 1만3천여명이며 졸업생은 일반대학과 마찬가지로 기술사 ... ...
「우주의 창조」과학독서계에서 인기끌어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80년대 천문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비교적 쉬우면서 재치있게 우주의 신비를 풀이해줘
전문가
아닌 어느정도 과학의 상식을 갖춘 사람이면 흥미있게 볼수 있게 했다.이 책은 '월드 사이언티픽'사에서 출간했으며 동양권보다 오히려 서유럽과 미국에서 잘 팔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장정 보이저 드라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아무도 예측하지 못하나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보이저의 방랑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는데
전문가
들은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NASA의 제트추진연구소는 보이저2호가 10억년 정도 지나면 태양계와 같은 또 다른 행성계에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안드로메다성운의 '로스248'이라는 별에 접근하는 ... ...
한글문화에 알맞는 컴퓨터를 개발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이해능력이 조금이라도 갖추어지면 이 능력을 이용한 응용시스템들을 개발하여야 한다.
전문가
시스템과의 대화라든가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을 자연스러운 한국어로 할 수 있는 날이 곧 도래하기를 소망한다.한글문화를 위한 컴퓨터기술의 연구는 이미 늦었지만 그래도 시작하여야할 우리의 ... ...
전국 대학생소프트웨어전시회 한글처리와 통신분야가 인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자랑할 만하지는 못하지만 설계의 참신함이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의 열의만큼은
전문가
에 떨어지지 않는다고 자신합니다. 지난해에 비해 오락기능 보다 학문적인 분야에 치우친 것이 올해의 작품경향입니다. 한글처리와 통신분야에 회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도 특기할만 합니다. ... ...
3천미터 심해탐사선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세계 시장의 약 10%를 점유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하는 예측도 이 방면의 국내
전문가
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이러한 해양개발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차분히 검토해 본다면, 나라의 희망찬 미래가 해양개발에 달려 있다는 말도 결코 아전인수만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육지가 휴전선으로 막힌 채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