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금메달 제조기 '스포츠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신고 뛰었다. 아식스가 1억원을 들여 개발한 이 운동화는 짝발인 이봉주 선수의 발
형태
에 맞춘 데다 체온 조절에 유리하다.이봉주의 마라톤화는 겉에 특수 폴리에스테르 소재를 두르고 있다. 경기 도중 마라토너의 신발 안은 온도가 43~44℃, 습도는 95%로 올라간다. 발을 내딛을 때마다 전해져오는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변화에 관한 연구 등도 있다1870년 프랑스광물학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폭발의 한
형태
폭발 반응이 진행되는 속도가 음속을 초월하는 현상을 말한다폭약은 열역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물질이어서 폭약의 한 점에 열 · 충격 등 어떤 외적 에너지를 주어 폭발반응을 일으키게 하면 폭굉(爆轟)반응을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교수는 “콩게아과의 엽낭게는 모래표면에 묻어있는 유기물을 훑어먹고 이렇게 알갱이
형태
로 내뱉는다”며 덩어리 옆 구멍 속에서 머리를 내밀고 있는 엽낭게를 가리킨다. 콩을 잔뜩 뿌려놓은 듯 모래사장 곳곳에 널려있는 덩어리를 바라보면서 교사들은 “엽낭게는 먹성이 대단한 녀석인가 ... ...
고려청자 비취색의 비밀은 철 이온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다. 철이 청자의 다른 구성성분들과 결합해 ${Fe}^{2+}$나 ${Fe}^{3+}$
형태
모두로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김 교수팀은 이번에는 고려청자를 굽기 전과 구운 후 태토와 유약에 존재하는 철 이온을 서로 비교했다.환원불로 때는 것이 필수“철 이온 중에서도 2가 철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델피니딘의 경우도 세포의 pH나 금속이온의 농도, 다른 색소의 존재 여부, 꽃잎 세포의
형태
등에 따라 파란색에서 보라색을 거쳐 자주색에 이르는 스펙트럼을 갖는다.따라서 델피니딘을 만드는 유전자 하나만 달랑 넣어서는 진짜 파란 꽃을 기대하기 어렵다. 카네이션이나 장미의 경우도 발현되는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자리 잡기 쉬웠다.물론 네덜란드의 과학상점이 처음부터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
를 띤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과학상점이란 용어조차 없었다. 예를 들어 암스테르담대에서는 과학상점이 명함 상자 하나로 시작됐다. 명함 상자를 며칠 놓아두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와 의뢰인이 적힌 명함이 가득 ... ...
크레타 사람은 모두 거짓말쟁이일까?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거짓말쟁이의 역설’ 은 수없이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는데, 아마도 가장 재미있는
형태
는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버트런드 러셀의 다음 농담이 아닐까 싶다.러셀은 철학자 조지 무어가 참으로 정직한 사람이었다면서, 어떤 사람이 무어에게 “당신은 항상 진실만을 말합니까” 라고 물었을 때 ... ...
호킹 박사, “내 블랙홀 이론 틀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우리 우주로 되돌아올 것”이라며 “물론 당신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뭉개진
형태
로 돌아올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동안 호킹 박사는 블랙홀로 빨려들어간 물질의 정보, 예를 들어 물질을 구성하는 양성자나 중성자의 수와 같은 물리량이 영원히 사라져 버릴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그는 1975년 ... ...
모나리자 미소의 비밀은 입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케틀웰 눈연구소의 과학자들은 타인의 얼굴에서 기쁨이나 슬픔을 읽을 때 눈보다도 입의
형태
가 더 중요하다고 ‘비전 리서치’ 6월호에 발표했다.연구자들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명화 ‘모나리자’ 의 일부분을 정규방송이 끝났을 때의 TV화면처럼 만든 뒤 이미지를 조작했다. 즉 눈끝이나 입가를 ... ...
차세대 방송의 꽃, 입체TV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방법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지금까지 개발된 무안경식 입체기술 가운데 가장 앞선
형태
가 렌티큘라(lenticular) 디스플레이다. 종종 재미있는 입체 책받침이나 입체 엽서의 소재로 쓰이는 렌티큘라 스크린은 반원통형 투명 렌즈판을 수직으로 모아놓은
형태
(그림 3)를 띤다. 스크린 뒤 렌티큘라 한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