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뉴스
"
다만
"(으)로 총 4,810건 검색되었습니다.
17일 한국에서도 ‘나고야의정서’ 발효…“연구 현장에도 타격 예상”
동아사이언스
l
2017.08.16
유전자원에 실물이 없는, 데이터 분석 결과인 유전정보까지 포함시키는 추세다.
다만
인간의 유전자원이나 남극 지역 등 국가 관할권이 미치지 않는 지역에서 얻는 유전자원은 포함되지 않는다. 문제는 국내 생명공학 분야 연구자 대부분이 해외에서 자원을 수입해 오고 있다는 점이다. 가령 ... ...
[타보니] 테슬라 모델S, 오토파일럿으로 달려 봤습니다
2017.08.16
놓지 않도록 합니다. 최호섭 제공 되도록이면 시내에서는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길이 밀리는 도심에서는 액티브 크루즈 콘트롤 정도는 좋습니다. 교통 흐름을 따라 차량을 완전히 세우기도 하고, 다시 출발하는 것도 자연스럽습니다. 막히는 도로에서는 보통 주의가 흐트러지기 쉽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애벌레가 폴리에틸렌을 먹고 소화했다고 결론 내렸다.
다만
논문 말미에서 아직 분해 메커니즘은 규명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아무튼 이 연구결과가 보도되자 우리나라에서도 큰 화제가 됐다. 추가 연구가 진행해 관련 효소를 찾으면 폴리에틸렌도 생분해 플라스틱이 ... ...
시민단체-학계는 ‘박기영 과기혁신본부장 사퇴 요구’… ‘과학 단체’들은 ‘함구’
2017.08.11
중립 입장을 취해온 단체”라며 현재 시점에서 입장을 표명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다만
노석균 상임대표(영남대 교수)는 “여러 매체에서 지적하고 있는 부분은 충분히 지적받을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과학기술계 원로 모임인 공학한림원과 과학기술한림원 역시 명확한 ... ...
차세대 원전 개발 여부도 공론화로 결정
2017.08.09
기술) 및 소듐고속냉각로(SFR) 기술에 대한 연구는 중단될 수도 있는 상황에 처했다.
다만
수출을 하기 위한 차세대 초소형 원전 ‘스마트’ 연구는 지속할 방침이다. 파이로프로세싱은 기존 경수로 원자로에서 발전을 하고 나온 핵폐기물(사용후 핵연료)을 재활용해 새로운 원전연료를 만드는 ... ...
MS 애저 스택, 클라우드의 오랜 고민 풀까
2017.08.08
이용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흔히 쓰는 일본이나 미국의 데이터센터와도 연결됩니다.
다만
애저 스택은 꼭 애저와 연결이 되어야 합니다. 가격 체계도 조금 다릅니다. 기존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초기 비용이 높지만 구축한 이후에는 별도의 비용이 들어가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쓴 경우 프로바이오틱스를 복용하면 장내미생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만
아직은 포함된 장내유익균 종류가 많지 않다. 예를 들어 필자가 먹는 프로바이오틱스에는 클로스트리디움 오르비신덴스가 없다. 지난 2008년 중국에서는 멜라민이 들어있는 분유를 먹은 수많은 아기들이 ... ...
[ESC의 목소리 (16)] 미래의 과학교육을 생각한다
2017.08.07
시대를 맞고 있습니다. 40년 후 아이들에게 뭘 가르쳐야 할지 예측하는 게 불가능합니다.
다만
지금 이 시점에서 아이들에게 가르칠 수 있는 가장 최고의 기술은 혼돈, 무지, 변화의 상태에 대처하는 법입니다. 구체적인 정보나 기술을 가르치는 데 집중하기보다는 정신적 균형이나 유연성을 ... ...
[카드뉴스] 인간이 생존할 수 있는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05
발작, 환각 등 8000m 가량의 높은 고도에 사람이 완전히 적응하려면 6~10주가 걸립니다.
다만
사람이 적응할 수 있는 높이는 8000m 정도까지입니다. - 참고: 과학동아 2010년 11월호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 ...
[때와 곳 16] 야영지: 일상에서 가장 먼 곳
2017.08.05
살기 전에는 동굴이든 움막이든 자연에 밀착해 그대로의 환경을 이용했으니 말이다.
다만
오늘날의 야영은 야영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업 생산물로 만든 캠핑 전용 장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는 크다. 오늘의 야영은 생존이 아닌 여가활동이라는 점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천성이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