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모두"(으)로 총 3,9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노 원천기술 개발 비결은? “공동연구가 해법이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 나노(NANO)란 ‘10억분의 1’을 뜻하는 용어다. 그러니 기계공학도, 정보통신기술도 모두 ‘나노’라는 수식어를 붙이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실체가 없는 기술’이라는 지적을 받는 경우도 왕왕 있다. 12일 대전 한국생명과학연구원(생명연)에서 만난 정봉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 반도체, 새로운 혁신이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학자다. 현대에 들어 물리학자들은 입자-파동 이중성, 즉 모든 물질이 입자와 파동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는데, 물질의 파동성을 수식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슈뢰딩거 방정식이다. 1차원에서 슈뢰딩거 방정식의 기본 모양은 다음과 같다. 이 때 위 식의 근, 란 파동함수로 ... ...
- 반도체를 알면 전자제품이 보인다.KAIST l2013.04.30
- 따라 물체들을 도체와 부도체로 분류한다. 이 중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또는 양쪽 모두에 속하는 물체가 바로 반도체다. 전류가 흐르는 동시에 흐르지 않는 물체가 과연 무엇일까? 비밀은 바로 자유전자에 있다. 전류(電流, Electric Current)는 단어의 뜻 그대로 전기의 흐름을 말한다. 더 정확히는 ... ...
- KAIST Art & Music Festival, KAMF!KAIST l2013.04.29
- 보니 문화적 혜택을 받기도 어렵잖아요. 그래서 서울과의 문화적 거리를 좁힐 수 있고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축제, KAMF를 기획하게 되었어요. Q.준비과정과 에피소드를 알려주세요. KAMF는 학부총학생회와 대학원총학생회, 그리고 지원자로 구성된 KAMF기획단, 기획사 인조이먼트 하울이 함께 ...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동아사이언스 l2013.04.29
-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바이오 인재 양성, 산학연 모두의 몫 “국내 바이오 관련 학과에서 해마다 수많은 인력을 배출하지만 갈 곳이 없다고 합니다. 그런데도 바이오 기업에서는 사람이 없다고 난리입니다. 대학이 현장에 바로 활용할 인력을 양성하지 못했기 ...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그 가운데 11명(0.19%)이 A00에 가까운 Y염색체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 11명은 모두 카메룬 서부지역에 살고 있는 음보족(Mbo)에 속해 있었다. 시료 가운데 174개가 음보족의 것이었으므로, 이들 가운데 6.3%가 현생인류의 것이 아닌 Y염색체를 지니고 있는 셈이다. 한편 아프리카계 미국인 ...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100% 발휘할 수 있는 적재적소를 찾지 못해 인정받지 못하고 묻히는 건 사물이나 사람 모두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들면서 알고 있는 몇 개 안 되는 시 가운데 하나가 떠오른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볼 수도 있다. 분류학의 역사로 돌아와서 1956년 코플랜드는 헤켈과 샤통의 분류법을 모두 반영한 ‘4계 분류법’을 제안한다. 즉 헤켈의 원생생물계를 원핵생물인 모네라(Monera)계와 원생생물계로 나눈 것. 1969년 미국 코넬대의 생태학자 로버트 휘테커는 곰팡이나 버섯 같은 균을 식물로 보는 건 ...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색인(물론 DNA염기서열로)까지 붙여 한 단위로 만들었다. 즉 긴 DNA가닥 하나에 정보를 모두 담는 게 아니라 고려 팔만대장경처럼 조각조각 나눠 정보를 담아 보관하는 것이다. 그런데 다음 정보 단위는 앞의 것의 26번째부터 시작해 100개를 저장한다. 즉 염기 25개 단위로 네 번에 걸쳐 중복해 ...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많은 대학원생과 연구원들에게 깊은 감화를 줬다고 한다. “과학문헌에서 읽은 내용을 모두 믿어서는 안 된다” “쓰레기 같은 박사논문주제들이 넘쳐난다” 같은 말로 제자들에게 통념에서 벗어나 알려진 게 별로 없는 과학의 최전선에 과감하게 뛰어들 것을 당부했다고 한다. 5. 마틴 플라이슈만 ... ...
이전390391392393394395396397398 다음